코로나19 시대 새 소비 습관 '비접촉·무인화' 가속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로 지금까지는 생소하던 쇼핑형태가 일상이 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무인 계산기, 서빙로봇부터 판매자들이 대신 쇼핑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'라이브 커머스'까지 달라진 소비일상, 이동훈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스마트폰 안에 각각 다른 영상들이 재생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판매자들이 시청하는 쇼핑객들의 요청에 따라 대신 옷을 입어보고 스타일을 보여주는 '라이브 커머스' 영상입니다.<br /><br />실시간으로 판매자와 소통하며 물건을 살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소비생활이 일상화하면서 지난달부터 국내 주요 백화점들은 물론 가전제품 판매점까지 뛰어들었습니다.<br /><br />호텔, 식당업계에서 직원 대신 서빙 로봇을 도입하는 곳이 늘고 있고, 마트들은 무인 계산대를 늘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 대형마트는 지난해 말 46개 점포에 440여대던 무인계산대를 이달엔 50개 점포, 510여개로 늘렸습니다.<br /><br />경쟁사는 전국 140개 점포 중 70%에 달하는 95곳이 무인계산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배달 서비스는 편의점까지 번졌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부터 시작해 현재 3,000여개 점포에서 배달이 가능한 편의점업체는 일부 점포에 한해 24시간 배달을 시작했고 지난달 뒤늦게 배달을 시작한 다른 편의점은 배달 가능 점포 수를 두 배인 2,000여개로 늘렸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코로나 사태가 서비스업계의 예정된 수순이었던 무인화·비대면 서비스를 앞당겼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 "대인접촉에 획기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요. 비대면 서비스는 하나의 주류 서비스로 등장할 것이다…"<br /><br />다만 무인화, 비대면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일자리 텃밭이던 유통업계에서 일자리 절벽이 현실화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