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전국민이 받는 지원금, 문재인 대통령도 예외가 아니겠죠. <br> <br>대통령과 참모들은 지원금을 기부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이 오늘 “지원금 기부는 자발적 선택“이라고 재차 강조했지만, <br> <br>기부 독려를 받고 있는 공무원들, "우리만 희생을 강요받는다"는 내부 불만도 나옵니다. <br><br>이어서 김윤수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문재인 대통령이 긴급재난지원금을 기부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청와대 관계자는 "국민들의 기부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대통령의 기부도 있을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신청 단계에서 기부의사를 밝히거나 아예 지원금을 신청하지 않는 방안 등을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문 대통령은 기부가 강제는 아니라고 강조합니다. <br> <br>[수석 보좌관 회의] <br>"(기부는) 강요할 수도 없고 강요해서도 안 될 일입니다. 기부에서 느끼는 보람과 자긍심이 보상입니다." <br> <br>대통령의 기부 방침에 따라 청와대 참모는 물론 공무원의 기부도 불가피해보입니다. <br><br>한 부처 관계자는 "책임자 위치에 있는 중앙부처 3급 과장급까지는 동참하는 분위기"라고 전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전국공무원노조는 "공무원들이 일방적 희생을 강요받고 있다"고 반발했습니다. <br> <br>[B부처 관계자 (음성변조)] <br>"안그래도 공무원들은 연가보상비 전액 삭감이 있었는데 그 후에 재난지원금까지 기부를 은근히… 강요까진 아니라고 해도 동참을 요청하는 분위기가 있거든요." <br> <br>긴급재난지원금 재원 마련을 위해 국가공무원 연가보상비 3957억원이 전액 삭감된 것을 비판하는 국민청원도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질병관리본부 공무원, 경찰, 군인 등은 코로나19로 대휴를 쓸 수 없는데 획일적으로 연가보상비를 삭감하는 것은 공정성에 어긋난다는 겁니다. <br> <br>정부와 여당은 기부 금액이 1조 원 이상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수입니다. <br> <br>ys@donga.com <br>영상취재 이성훈 <br>영상편집 강 민<br>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