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주, 21대 국회 의석의 대부분을 나눠 가진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새 원내지도부를 꾸립니다. <br /> <br />양당 후보들 저마다 대화와 타협을 강조하고 있는데, 공직자비리수사처를 둘러싼 논란이 21대 국회 여야 협치의 이행을 시험할 첫 관문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한연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하루 먼저 진행되는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경선은 김태년, 전해철, 정성호 후보의 3파전으로 치러집니다. <br /> <br />[김태년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달 28일) : 일하는 국회로 문재인 정권의 성공을 이끄는 일꾼 원내대표가 되겠습니다.] <br /> <br />[전해철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달 28일) : 신뢰를 기반으로 청와대와 소통하며 일로써 확실한 성과를 낼 수 있는 원내대표가 필요합니다.] <br /> <br />[정성호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달 27일) : 2년 뒤 정권 재창출을 위해서라도 당내의 다양한 목소리의 통합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.] <br /> <br />역대급 거대 여당을 이끌 새 지도부를 뽑는 민주당 경선은 이른바 친문과 비주류의 대결로도 요약됩니다. <br /> <br />김 의원은 문재인 정부 첫 정책위의장을 지낸 당권파 친문. <br /> <br />노무현 정부의 민정수석을 지낸 전 의원은 친문 핵심입니다. <br /> <br />반면, 정 의원은 계파 정치를 지양하고, 야당과 협치를 중요시하는 인물입니다. <br /> <br />초선 의원 68명의 표심을 잡는 것이 관건인 만큼 경선을 하루 앞두고 진행되는 토론회에 힘을 쏟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오는 8일 열리는 통합당 경선엔 4명이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. <br /> <br />일찌감치 출마를 선언한 주호영, 이명수, 김태흠 의원에 이어 권영세 당선인도 출사표를 냈는데, <br /> <br />총선 참패를 딛고 보수 정당을 재건할 지도체제를 마련하는 게 최우선 과제입니다. <br /> <br />비대위에 부정적 입장을 보여 온 이명수·김태흠 의원은 조기 전당대회를 주장하며 자강론을 펼쳐왔고, <br /> <br />주호영 의원과 권영세 당선인은 김종인 비대위 출범에 힘을 실어왔습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, 원내대표 경선에서 누구를 선택할지가 앞으로 통합당이 갈 길을 보여줄 것이란 평갑니다. <br /> <br />치열한 당내 경쟁을 거친 뒤, 여야가 처음으로 맞붙을 쟁점은 '공수처'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공수처가 예정대로 오는 7월 출범하기 위해서는 인사청문회법 등의 후속 법안이 20대 국회에서 반드시 통과돼야 하는데, <br /> <br />마지막 본회의 개최 여부부터, 후속 법안을 어떻게 처리할지 모두, 새 원내 지도부에 달려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50519080777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