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지난 2월부터 전 국민이 힘을 모아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해왔는데, <br> <br>클럽 같은 유흥시설에서는 잘 지켜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결국 우려했던 일이 생기면서 오늘 밤 8시부터 전국 유흥시설은 한달 간 운영을 자제해야합니다. <br> <br>이지운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사회적 거리두기가 한창이던 지난 2월 말, <br> <br>클럽 밖에 손님들이 길게 줄을 늘어서 있습니다. <br> <br>마스크를 쓴 직원이 손님들의 열을 잽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(뭐 하는 거에요?) 열 체크. (왜 해요?) 코로나 때문에." <br> <br>하지만 안에 들어가면 방역 수칙은 전혀 지켜지지 않습니다. <br> <br>바짝 붙어 음악에 맞춰 춤을 추고, 마스크를 제대로 쓴 사람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. <br> <br>같은 술잔을 친구와 나눠 마시기도 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(이거 잔 나눠마셔도 돼요?)…." <br> <br>클럽 같은 유흥업소에선 방역 수칙이 지켜지지 않아 그동안 방역 사각지대로 꼽혀 왔습니다. <br> <br>끝내 집단 감염이 발생하면서 방역당국이 칼을 빼들었습니다. <br> <br>오늘 밤 8시부터 한 달간 전국 유흥시설에 운영을 자제하라고 행정명령을 내렸습니다. <br> <br>앞서 서울시 등이 내렸던 운영중단 행정명령이 끝난 지 얼마되지 않아 또다시 행정명령이 발동된 겁니다. <br> <br>[윤태호 / 중앙방역대책본부 방역총괄반장] <br>"(사회적 거리두기) 막바지에 조금 느슨해진 측면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. 밀폐된 유흥시설에 대해서는 운영자제를 권고하고." <br> <br>클럽뿐만 아니라 유사한 형태로 운영되는 감성주점과 콜라텍 등도 대상에 포함됩니다. <br> <br>이들 시설을 이용하려면 반드시 마스크 착용와 거리두기를 준수해야 하고, 업주는 하루 2차례 실내 소독과 출입자 명부 작성 같은 까다로운 수칙을 지켜야 합니다. <br> <br>정부는 지자체들과 함께 업소들이 방역수칙을 제대로 지키는지 집중 단속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지운입니다. <br> <br>easy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정승호 <br>영상편집: 유하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