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클럽 방문자 명단 엉터리…사회적 거리두기로 회귀?

2020-05-08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자세한 이야기, 정책사회부 김단비 기자와 짚어봅니다. <br> <br>1. 김 기자, 용인 확인자가 얼마나 퍼뜨렸을지가 가장 우려되는 대목이죠? 클럽과 주점을 간 그 날, 거기를 방문한 사람만 1천5백 명이 넘는다는 거잖아요. <br> <br>네, 방역당국은 용인 확진자를 이번 집단 감염의 첫 환자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 확진자를 통해 클럽에서 2차 감염이 이뤄졌다는 건데요, <br> <br>남성이 지난 2일 들렸던 클럽 세 곳의 방문 기록을 살펴보니, 방문자는 모두 1510명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 <br>가장 오래 머물렀던 킹 클럽의 경우 650명이 방문한 것으로 드러났고, <br> <br>트렁크클럽과 클럽퀸에서도 각각 540명, 320명이 방문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<br>2. 당시 방문자들은 클럽에 출입할 때 신원을 기록하도록 했다는데, 그 기록에 지금 오류가 많아서 더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요? <br> <br>네, 남성이 클럽을 방문한 지난 2일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여전히 진행되던 시기였습니다. <br> <br>유흥업소 같은 집단시설은 하루 2회 환기와 소독은 물론 방문자 신원을 기록하고 관리해야 되는데요. <br> <br>문제는 이들 클럽이 작성한 출입자 명단이 오류 투성이라는 겁니다. <br> <br>방문자가 이름과 사는 곳, 휴대전화 번호 등을 기입하는 것을 허위로 작성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> <br>서울시 발표애서도 부실한 명단 작성 문제가 지적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박원순 서울시장은 "출입자들이 모두 명단에 기재돼 있는지 조사하고 있는데, 부정확한 게 드러나고 있다" "명단에는 없는데, 출입한 사람들이 있다"고 말했습니다. <br><br>방역당국은 명단 외에 CCTV와 카드사용 내역 등을 확인해, 방문자를 찾고 있는데요. <br> <br>지역사회 전파를 막기 위해 방문자들이 자발적으로 신고해 줄 것을 호소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들 클럽을 방문한 사람은 외출을 자제하고 증상이 있으면 보건소를 찾아달라는 안전문자를 시민들에게 보내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3. 또 궁금한 게 이 남성이 이날 클럽과 주점 다섯 곳을 다녔는데, 세 곳만 구체적으로 밝혔어요. 또 그 다음날부터 강원 지역도 다녀왔는데 그 곳도 조사를 하고 있겠죠? <br> <br>방역당국이 공개한 남성의 동선을 다시 보겠습니다, <br><br>자정부터 약 4시간 동안, 세 곳의 클럽을 옮겨 다닙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 남성은 클럽 세 곳외에도 또 다른 클럽 한 곳과 술집 한 곳을 방문했는데요. <br> <br>방역당국은 나머지 두 곳은 남성이 머문 시간이 짧고, 마스크를 착용한 만큼 전파 가능성을 낮다고 보고, 구체적 상호명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. <br><br>남성은 또 증상이 나타나기 하루 전인 지난달 30일 친구들과 강원도 춘천, 홍천으로 여행을 다녀왔는데요, <br> <br>이들 지역에서 아직 확진자는 나오지 않았지만 안심하긴 이르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4. 개학도 앞두고 있어서, 다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가야하는 거 아니냐는 지적도 있습니다. 방역당국의 입장은 어떤가요. <br> <br>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에도 방역수칙이 잘 지켜지지 않았던 만큼 강도가 약해진 생활방역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방역당국은 이번 집단감염의 경우 클럽 내 밀접접촉을 통한 전파인 만큼, <br> <br>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가거나 생활방역 수칙을 강화하는 건 무리라고 보고 있습니다. <br><br>다만 이번 유흥시설 감염 사례는 느슨해진 방역수칙 준수에 경각심을 주는 사건이라며, <br> <br>일상생활 속에서 방역수칙을 준수해달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네, 혹시나 확진자와 동선이 겹치는지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 지금까지 정책사회부 김단비 기자였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