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경제 타격이 너무 커지자 일본 아베 정부도 어떻게든 빨리 생활을 정상화시키려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일부 지역의 경우 이달 말까지 연장하기로 한 긴급 사태 선언을 조기에 해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데, 2차 유행을 불러올 거라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도쿄 김범석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우유 한 컵을 들이키는 홋카이도 지사. <br> <br>요구르트를 넣은 음료도 만들어 마십니다. <br><br>[효과음] <br>"맛있어요!" <br> <br>지역 경제를 지탱하는 낙농업이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자 소비 촉진을 위해 직접 영상을 찍은 겁니다. <br><br>긴급 사태 발령 이후 일본 경제는 급속히 얼어붙고 있습니다. 기업들이 줄도산하고 있고 GDP가 최대 33%까지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><br>[아카마쓰 유키노리 / 프랑스 식당 운영] <br>"지금 수입이 하나도 없어요. 처음부터 천천히 (운영을) 재개하는 수밖에 없어요. <br> <br>이에 아베 총리는 오는 31일까지로 연장했던 긴급 사태 종료 시점을, 앞당길 가능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최근 감염자가 줄고 있는 34곳이 대상이지만, 도쿄와 오사카처럼 감염자가 많은 지역 일부도 포함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. <br><br>[아베 신조 / 일본 총리] <br>"이번 주 내를 목표로 업체별로 (사업 활동 본격화를 위한) 상세 가이드라인을 만들겠습니다." <br> <br>그러나 정부와 지자체의 코로나 19 대응 능력이 허술한 탓에, 조기 해제가 2차 유행을 초래할 것이란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[가와사키 하루오 / 도쿄시민] <br>"정부 판단이 너무 느리고, 아베 총리는 코로나19 대처가 너무 무뎌요." <br><br>이런 가운데 아베 총리가 측근인 도쿄고검 검사장의 정년을 연장했고, 이를 뒷받침하는 법까지 개정을 추진하고 있어, 코로나19로 어수선한 틈을 타 나라를 망치려 한다며 연예인 등 저명인사들의 항의가 500만 건에 달하고 있습니다. <br>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범석입니다. <br>bsism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박용준 <br>영상편집: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