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렇게 아이가 있는 학부모들의 걱정이 가장 클 수 밖에 없다보니, 이태원에 다녀온 확진자에 대한 학부모들의 원성도 높습니다. <br> <br>확진자가 사는 아파트에 학부모 일동이 비난 대자보를 붙이는 일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우현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지난 9일 인천 부평구의 한 아파트 1층 현관 출입문에 붙었던 대자보입니다. <br> <br> '학부모 일동'이라고 밝힌 대자보 작성자는 "학생들이 밖에 못 나가고 온라인 수업하는데 이태원가서 춤추고 확진돼 좋겠다"며 원색적으로 비난했습니다. <br> <br> '뜯지 말라'는 내용도 있지만 게시되고 얼마 지난 뒤 사라졌습니다. <br><br> 이곳은 지난 5일 이태원 클럽을 방문했던 20대 확진자가 살고 있는 아파트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 시민들은 방역에 대한 일부 청년들의 안일한 인식으로 어린 학생들의 개학이 늦춰졌다며 불만을 토로합니다. <br> <br>[최병길 / 서울 종로구] <br>"속상해요 왜냐면 애들을 빨리 학교에 보내야 하고 정상적 사회 생활 해야하는데…" <br> <br>[유미영 / 서울 강남구] <br>"이기적인 게 아닌가. 이게 나 혼자만의 노력으로 되는 게 아니잖아요. 저는 좀 되게 화가 났어요." <br> <br> 실제 이태원 클럽에서 시작된 감염은 가족 단위 2차 감염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 인천 부평구 확진자의 누나가 지난 8일 확정 판정을 받았고, 클럽을 다녀온 손자와 함께 식사한 서울 구로구의 80대 할머니도 감염됐습니다. <br><br> 경기 부천시와 성남시, 서울 강북구 가정에서는 20대 아들에게 감염된 50대 엄마가 줄줄이 나왔습니다. <br><br> 확진자에 대한 지나친 비난이 자진 신고를 꺼리는 현상으로 이어질까 우려하는 시민도 있습니다. <br> <br>[A씨] <br>"저도 놀이문화를 좋아하는 사람은 아니지만 여론을 몰아가는 건 어떻게 보면 나쁘게 말하면 중세시대의 마녀사냥식으로" <br> <br> 오늘 오전 확진자가 대거 발생한 클럽에는 "자책하지 말라"며 격려하는 손편지가 붙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. <br>whk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윤재영 김용균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