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고용위기가 심각한데, 다행히 일부 대기업은 신입 공채를 준비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특히 삼성은 코로나19 감염 방지를 위해 온라인 시험을 처음 도입합니다. <br> <br>집에서 시험을 보면 부정 행위는 어떻게 막을까 궁금한데, 조현선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매년 수만 명의 응시자가 고사장에 몰리는 삼성그룹의 필기시험 삼성직무적성검사. <br> <br>올해는 코로나19 여파로 삼성이 상반기 입사 시험을 온라인으로 치르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1957년 삼성이 신입사원 공채를 시작한 이래, 온라인 시험은 처음입니다. <br> <br>응시자는 집에서 PC를 이용해 시험을 치릅니다. <br><br>접속 폭주를 막기 위해 시험 날짜는 이틀간 총 4번으로 나눴고, 시험 과목은 수리영역과 추리영역 2개로 줄였습니다.<br> <br>시험 문제는 4번 모두 겹치지 않게 출제합니다. <br><br>"삼성은 온라인 필기시험의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는데요. 응시자는 자신의 휴대전화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깔고 이렇게 거치대에 세운 뒤 화면에 상반신과 얼굴, 양손, PC 화면이 모두 잡히도록 해야 합니다." <br><br>거치대와 PC간 간격은 대략 50~60cm 정도면 됩니다. <br> <br>응시자와 PC를 번갈아 찍은 영상은 감독관에게 전송됩니다. <br> <br>또 시험 1주일 전 온라인 시스템을 미리 점검합니다. <br> <br>[이병태 / 카이스트 경영대 교수] <br>"전화번호 인증도 있고 여러 가지 수단이 있거든요. 사이버 보안이나 그런 이슈가 큰 상황은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." <br> <br>삼성이 온라인 시험을 결정하면서 SK와 LG도 온라인 필기시험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현선입니다. <br>chs0721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홍승택 <br>영상편집 정다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