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정의기억연대는 할머니들이 매주 수요집회에 참석하는 걸, 누구보다 잘 알고 있죠. <br><br>그런데 왜 기존 계획까지 바꿔가며 서울과 먼 안성에 건물을 샀을까요? <br><br>구조도 노인이 살기엔 불편한데 말입니다. <br><br>실제로 6년 동안 이곳에 거주한 할머니는 없었습니다. <br><br>대기업 기부금 받을 때 했던 말과는 맞질 않습니다. <br><br>남영주 기자가 조목조목 따져보겠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안성 '평화와 치유의 집'이 문을 연 건 지난 2013년 11월. <br> <br>개소식에는 김복동, 길원옥 등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도 참석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최근 매각까지 6년 넘도록 할머니들의 입주는 없었습니다. <br><br>정의기억연대는 "수요시위 참석 등으로 할머니들이 안성에 거주하기 어려웠다"고 해명했지만, 매주 수요집회가 열리는 상황을 <br>미리 고려하지 못했다는 건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입니다. <br><br>수요집회가 열리는 옛 일본대사관과 안성 쉼터의 직선거리는 75km. <br> <br>피해 할머니들의 기존 생활 공간인 경기 광주시 '나눔의 집'보다 두배 이상 멉니다.<br> <br>2층에 복층 형태인 안성 쉼터 구조가 고령의 할머니들이 생활하기에 불편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[부동산 업체 관계자] <br>"계단을 오르내리고 그러는 데는 무릎에 무리가 가죠. 1층구조가 편하시지 않겠어요." <br> <br>정의연이 원래 쉼터를 조성하려 했던 곳은 서울 마포구 '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' 인근이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현대중공업에서 10억 원을 쉼터 건립 용도로 지정기부 받은 뒤, 계획을 바꿔 안성에 있는 <br>건물을 매입했습니다.<br><br>현대중공업 관계자는 "기부금 기탁 전에는 서울 마포에 부지를 구해 쉼터를 짓겠다고 했다"며 "기부 이후 공동모금회를 통해 부지 변경을 통보했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정의연대 측은 기부금으로는 서울 마포에 부지를 사기에 부족해, 부득이 하게 안성에 있는 건물을 쉼터로 구입했다고 해명했습니다 <br> <br>채널A 뉴스 남영주입니다. <br> <br>drgaonball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