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국가권력을 장악한 신군부에 맞서 광주 시민들이 항쟁을 벌였던 5·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난 지 40년 되는 날입니다. <br /> <br />광주·전남지역 추모 분위기가 높아진 가운데, 오전에는 정부 기념식이 열릴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기념식이 열리는 곳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. 나현호 기자! <br /> <br />오늘 오전에 열릴 행사 준비가 한창일 텐데요. <br /> <br />분위기 어떤지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두 시간 뒤인 오전 10시부터 제40주년 5·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릴 예정인데요. <br /> <br />현장은 행사 준비로 분주한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제 뒤로 보이는 옛 전남 도청은 5·18의 상징적인 장소입니다. <br /> <br />40년 전 계엄군이 시민들을 향해 집단 발포가 이뤄졌던 곳이기도 하고요. <br /> <br />한편으로는 계엄군의 진압에 맞서서 목숨을 바쳐 마지막까지 항전했던 곳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지난 1997년, 5·18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뒤 이곳 옛 전남도청에서 정부 기념식이 열리는 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기념식 주제는 '세월은 흘러가도, 산천은 안다'로 정했는데요. <br /> <br />5·18 추모곡인 '임을 위한 행진곡' 가사에서 따왔습니다. <br /> <br />행사는 한 시간 정도 열릴 예정인데요. <br /> <br />5·18로 인해 소중한 가족을 잃은 평범한 사람들의 사연을 통해 시대적 아픔을 공감하고 감동과 울림을 전달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코로나 19 확산을 막기 위해 참석자를 5·18 유공자와 유족 등 4백여 명으로 제한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우리나라 민주화의 불씨가 된 5·18이 40년을 맞기 때문에 추모 분위기도 남다를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광주·전남지역 추모 분위기는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5·18 40주년을 맞아서 일찌감치 추모 열기가 달아올랐는데요. <br /> <br />대표적인 곳이 국립 5·18 민주묘지입니다. <br /> <br />40년 전 민주화를 부르짖었던 8백50여 영령이 잠들어 있는데요. <br /> <br />5·18을 앞두고 유족과 시민의 발길이 끊임없이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는 5·18 유족회가 주관한 추모제도 열렸는데요. <br /> <br />많은 유족과 시민이 먼저 간 유공자들의 뜻을 기렸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1일에는 옛 전남도청 앞에 있는 전일빌딩이 리모델링을 마치고 문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전일빌딩은 5·18을 상징하는 건물 가운데 하나인 데요. <br /> <br />5·18 당시 총탄 자국이 그대로 보존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건물 10층에서 발견된 총탄 자국은 헬리콥터 사격 흔적으로 추정됐는데요. <br /> <br />5·18 당시 시위대를 향한 집단 발포가 자위적 차원에서 이뤄졌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0051807565687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