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세월은 흘러가도, 산천은 안다'…5·18 40주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늘은 5·18 민주화 운동이 40주기를 맞는 날입니다.<br /><br />올해는 어느 때보다 5·18의 온전한 진실이 밝혀지기를 바라는 기대가 높은데요.<br /><br />특히 오늘 기념식은, 5·18 민주화 운동의 최후 항쟁지였던, 옛 전남도청에서 처음으로 진행이 됩니다.<br /><br />5·18 민주 영령들이 잠들어 있는 5·18 민주묘지에는, 아침부터 추모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김경인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다시 오월이 왔습니다.<br /><br />저는 지금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앞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잠시 뒤 오전 10시부터 약 1시간 동안 제 뒤편에서는 '제40주년 5·18민주화운동 기념식'이 거행됩니다.<br /><br />현재는 막바지 리허설이 진행되고 있고 참석자들도 서서히 입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기념식이 열리는 옛 전남도청은 5·18의 상징과도 같은 곳인데요.<br /><br />80년 5월 신군부의 총칼에 맞서 싸운 시민군의 항쟁본부이자, 최후 항쟁지입니다.<br /><br />바로 앞 광장은 시민군을 향한 계엄군의 무자비한 집단 발포가 자행되었던 비극적인 역사의 현장인데요.<br /><br />이번 기념식은 5·18이 1997년 정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옛 전남도청 앞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기념식입니다.<br /><br />오늘 기념식의 주제는 '세월은 흘러가도, 산천은 안다'로, 5·18의 상징곡인 '님을 위한 행진곡'에서 빌려 왔는데요.<br /><br />40년의 세월이 흘렀지만, 그날의 진실은 잊혀지지 않고, 오월 영령의 뜻을 잊지 않겠다는 의미를 담았습니다.<br /><br />기념식은 방송인 김제동씨 사회로 진행되며, 국민의례, 경과보고 등으로 시작해 '님을 위한 행진곡' 제창으로 마무리됩니다.<br /><br />올해 기념식에서 달라진 점은 경과보고인데요.<br /><br />5월 단체 대표들이 돌아가면서 해오던 경과보고를 올해는 희생자 유가족인 남녀 대학생이 진행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경과보고 후에는 5·18 당시 희생된 고 임은택 열사의 아내 최정희 씨의 사연이 편지로 소개됩니다.<br /><br />임은택 열사는 80년 5월 21일 사망했고, 열흘 뒤 옛 광주교도소에서 암매장된 채 발견됐습니다.<br /><br />이 밖에도 김용택 시인이 쓴 묵념사 낭독과 5·18 40주년 헌정 공연도 예정돼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옛 전남도청 앞에서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