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의 기술을 사용한 외국 기업들도 중국 화웨이에 '반도체를 팔지 말라'는 미국 정부의 요구가 나오면서 당장 글로벌 공급망에 변화 조짐이 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에서는 타이완 반도체 업체들이 첫 타격을 입을 거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강성웅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타이완의 반도체 업체가 중국 화웨이에 더 이상 반도체를 팔지 않을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새로 주문을 받지 않고 기존 계약 물량은 오는 9월 중순까지 출하를 끝낼 것이라는 관측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결정은 화웨이에 반도체 공급을 끊으려는 미국의 조치에 따른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당사자인 TSMC는 부인했지만, 공급망의 대변화가 이미 시작됐다는 시각도 만만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해당 업체가 화웨이의 반도체 자회사에서 주문을 받아 위탁생산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규제로 타이완계 기업들이 첫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중국 매체의 분석과도 맞아 떨어집니다. <br /> <br />화웨이는 미국의 조치가 산업적 파괴력이 있으며 자사 업무에도 영향을 줄 거라며 반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반도체 산업을 포함해 세계적 협력의 신뢰기반 이 붕괴될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관변 매체들은 미중이 장기적인 '기술 냉전'에 접어들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첨단 분야에서 미국의 압박은 시작에 불과하며 핵심기술의 '탈미국화'를 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반도체의 경우 중국의 기술은 타이완 업체 보다 2세대나 뒤져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중국은 미국 정부의 화웨이 고사전략에 맞서 보복을 예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퀄컴이나 애플 같은 미국의 기술기업에 제재를 가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무역갈등에서 촉발된 미국과 중국의 대립은 코로나19 책임론으로 이어지더니 다시 기술전쟁으로 번지면서 해결점을 찾기보다는 더 장기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성웅[swka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518210701100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