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정의기억연대와 관련한 각종 의혹은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으로 이번에 터졌을 뿐 오래 전부터 곪아왔던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가장 논란이 큰 경기 안성쉼터부터 살펴보겠습니다. <br> <br>이 쉼터는 현대중공업의 기부금으로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거쳐 정의연이 구매했죠. <br> <br>감독권을 가진 공동모금회가 5년 전 이 쉼터의 회계를 평가했는데, 최하위 F등급을 줬던 사실이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정의연이 이 쉼터를 매각한 건 이 낙제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남영주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 2015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정의기억연대의 경기 안성 쉼터 사업에 대한 평가에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2년 전 이 건물을 살때 들어간 매수 비용을 제공했기 때문입니다. <br><br>평가 결과는 충격적이었습니다. <br> <br>회계평가 결과는 최하위 등급인 F였고, 사업평가도 C등급이라는 결론이 나온 겁니다.<br><br>회계 부문에서 사실상 낙제점을 준 겁니다. <br> <br>세금계산서 같은 증빙 서류를 제대로 안 갖추고, 프로그램도 제대로 운영되지 않은 사실도 평가 과정에서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[사회복지공동모금회 관계자] <br>"(회계에서) F를 받는 경우가 흔한 경우가 아닌 상황이고요. 위안부 생존자들의 활용률이 미흡하고 프로그램 실적이 저조해서 사업평가에서 C가 나왔었고요." <br><br>공동모금회는 정의연의 전신 정대협에 '경고' 처분을 내리고 향후 2년간 모금회의 기부금을 받을 수 없게 조치했습니다.<br> <br>할머니들을 모시기 힘든 안성에 쉼터를 마련할 때부터 예견된 결과라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모금회는 정대협에 시정요구 공문도 보냈지만 답변이 없었다고 설명합니다. <br> <br>[사회복지공동모금회 관계자] <br>"보완을 하고 활용률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라는…이의가 있으면 이의제기를 하라는 내용으로 보냈는데, 그 공문에 대한 답변이 없었던 상황이고요." <br> <br>정대협은 결국 2016년 11월 사업 중단을 결정하고 쉼터 건물 매각에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사회복지공동모금회 측은 오는 8월 안성 쉼터 매각 대금이 환수되면 기탁자인 현대중공업의 동의를 받아 사용처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남영주입니다. <br> <br>dragonball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