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1년 만에 '공인' 뗀 공인인증서…전자서명시장 확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늘(20일) 국회에서 공인인증서 폐지를 골자로 하는 전자서명법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.<br /><br />정확히는 공인인증서가 여러 인증의 하나가 된 건데요.<br /><br />이에 따라 전자서명시장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각축을 벌일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서류상 거래에서 인감증명처럼, 인터넷에서 전자 서명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1999년 도입된 공인인증서 제도.<br /><br />2015년 공인인증서 의무사용 폐지 전까지는 공공부문과 금융 거래에서 독점적 지위를 누려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유효기간이 1년으로 비교적 짧은 데다 각종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해서 쓰기가 불편하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전자상거래에서 외국인의 국내 구매를 막는 문제까지 불거지자 문재인 대통령의 공인인증서 폐지 공약에 따라 전자서명법 개정안이 발의됐고, 20대 국회에서 결국 '공인'의 지위를 내려놓고 여러 전자서명방법의 하나로 지위가 격하됐습니다.<br /><br />공인인증서와 사설인증서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민간 전자서명 서비스 시장은 본격 경쟁체제가 됐습니다.<br /><br />공인인증서 대체 서비스로는 이미 '카카오페이 인증'과 이동통신 3사의 본인인증 앱 '패스', 은행권의 '뱅크사인' 등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카카오페이는 사용자 1,000만명을 돌파했고, 지난해 출시된 패스는 벌써 2,800만명이 이용했습니다.<br /><br /> "인증시장이 사설인증이나 민간부분에서 활성화되면 산업으로 점차 성장하겠죠. 생체 인증도 가능하고요. 필기체 인증도 가능하고요. 인증 방법이 우수하고 안전한 쪽이 살아남겠죠."<br /><br />기존의 공인인증서도 '공인'이란 이름을 뗄 뿐, 계속 쓸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발급처인 금융결제원은 기존 공인인증서가 안전성이 높다며 유효기간 연장 등을 통해 편의성을 높일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