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전역 경제 재가동…17개주서 환자 증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내 50개 주 모두가, 이번 주부터 빗장을 풀고 부분적인 경제 활동을 재개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피해가 가장 컸던 뉴욕주도, 부분적인 종교 모임을 허용하기로 했는데요.<br /><br />CNN방송은 최근 일주일 사이 17개 주에서 신규환자가 10% 이상 증가했다며 경제 재개에 우려를 표시했는데요.<br /><br />미국 현지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.<br /><br />윤석이 특파원, 미국 내 코로나19 사태가 완전히 잡히지 않은 모습인데, 일단 50개주 모두가 경제 활동에 착수했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이곳 현지시간으로 20일 코네티컷주가 경제활동을 재개하면서 미국 내 50개주 모두가 부분적 또는 전면적인 경제 재가동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주별 상황은 모두 다르지만 코로나19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발령했던 사업체와 점포의 폐쇄, 주민들의 이동 제한 같은 규제를 완화한 건데요.<br /><br />피해가 가장 컸던 뉴욕주의 경우 부분적인 종교모임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앤드루 쿠오모 뉴욕주 지사의 언급 들어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현재 종교 기관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. 종교 모임에서 엄격한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면서 10명까지 모일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피해가 적었던 알래스카주는 술집과 영화관 등에서도 인원 제한 없이 영업 재개를 허용했고, 사우스타코타, 미주리, 와이오밍주 등에서도 알래스카와 비슷한 수준에서 경제 재개에 들어갈 예정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하지만 미국 내에서도 경제 활동 재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CNN 방송은 존스홉킨스대학 코로나19 정보센터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1주일 새 17개 주에서 신규환자가 10% 이상 증가했다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신규 환자 발생이 10% 이상 감소한 주는 16곳에 그쳤고, 나머지 주에서는 10% 미만의 증가 또는 감소세를 보였다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경제 재개에 앞장섰던 플로리다, 조지아주 등에서는 경제 재개를 위해 코로나19 관련 통계를 조작했다는 의혹까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시카고에 있는 포드 자동차 조립공장에서는 재가동에 들어간 지 이틀 만에 한 직원이 양성 판정을 받으면서 수천 명의 직원이 조기 퇴근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미-중간 감정의 골이 깊어지고 있는데, 오늘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"독재정권"이라는 표현까지 쓰며 중국을 공격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오늘 국무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 자리에서였는데요.<br /><br />폼페이오 국무장관은 "중국은 악랄한 독재정권에 의해 지배를 받아왔다"며 공격의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렸습니다.<br /><br />폼페이오 장관의 발언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수십년간 무역과 외교적 접근, 개발도상국 지위로서의 세계무역기구(WTO) 가입 등을 통해 그 정권이 보다 우리처럼 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."<br /><br />어제 끝난 세계보건기구, WHO 연차총회에서 중국 시진핑 주석이 "공개적이고 투명한 태도를 보였다"고 밝힌 데 대해서도 "그랬다면 좋았을 것"이라며 응수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폼페이오 장관은 특히 중국이 가장 껄끄러워하는 홍콩, 대만 문제도 거론하며 중국을 자극했습니다.<br /><br />폼페이오 장관의 발언 다시 들어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 "차이잉원 대만 총통의 취임에 축하를 표하고 싶습니다. 대만에서의 민주주의적 과정은 전 세계의 모델이 되며 무르익어왔습니다."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트윗을 통해 "얼간이, 멍청이" 등 막말까지 동원하며 거듭 중국을 비난했는데요.<br /><br />중국 자오리젠 외교부 대변인 등이 "미국이 코로나19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"는 취지의 비판을 한 것에 대한 공격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책임론과 무역합의 이행 등을 놓고 미-중간 감정싸움이 극한으로 치닫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