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어디서 돈을 받고 어디다 썼는지 정의기억 연대 회계 실태를 까면 깔수록 의혹이 증폭됩니다. <br><br>할머니들을 돕겠다며 정부보조금을 수억 원씩 탔지만 제대로 돈이 나간 흔적을 못 찾겠는 겁니다. <br> <br>‘한 푼도 지원 못 받았다.’ 이게 이용수 할머니 얘기였죠. <br><br>누가 어디에 쓴 걸까요? <br><br>박건영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 가운데 생존자는 18명. <br> <br> 여성가족부는 할머니들의 건강치료와 맞춤형 지원 명목으로 정의기억연대에 지난해 4억3천만원을 지급했고 올해도 5억1천만원 정도 집행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 정의연이 정부 보조금을 받기 위해 제출한 사업계획서에는 휠체어와 틀니, 보청기 등 의료용품을 지급하고, 명절선물이나 반찬, 장례비도 지급하겠다고 나와있습니다. <br><br> 지난해 지급액만 기준으로 하면 피해자 한 명당 2천 400만 원 가까운 돈이 사용돼야 합니다. <br> <br> 그런데 국세청 공시 자료에는 보조금이 어떻게 쓰였는지 제대로 적혀있지 않습니다. <br> <br> 정대협에서 운영하는 위안부 피해자 보호시설에 대한 여가부의 보조금도 마찬가지. <br><br> 정대협은 서울 마포와 경기 안성 쉼터 두 곳의 운영비 지원 명목으로 3년 동안 7천 100만 원을 받았습니다. <br><br> 그런데 교회가 무상 임대해준 마포 쉼터를 위해 지급할 임차료는 없고, 안성 쉼터는 할머니들이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 대구의 임대 아파트에 거주하는 이용수 할머니도 정의연이나 정대협의 지원을 거의 받지 못 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[이용수 /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(지난 7일)] <br>"그 돈을 쓰는 데가 없습니다. 이것을 전부 할머니들에게 쓰는 게 아니고 도대체 어디에 쓰는지. 쓴 적이 없습니다." <br><br>정의연 측은 "예산은 모두 적절히 집행됐고, 공시에 누락된 보조금과 관련해서는 전문 회계사와 검토 중"이라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건영입니다. <br> <br>change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홍승택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