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국제사회가 새로운 ‘냉전시대’로 접어드는 걸까요. <br><br>코로나 19 사태로 미국과 중국이 아주 살벌하게 대립하고 있습니다. <br><br>경제부터 정치까지 사사건건 맞붙습니다. <br><br>우리는 두 나라 사이에 끼기 딱 좋은 입장이라 관심있게 지켜보셔야 할 뉴습니다. <br><br>정다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지난 3일)] <br>"중국은 정말 끔찍한 실수를 저질렀지만 인정하려 하지 않습니다." <br> <br>[시진핑 / 중국 국가주석 (지난 18일)] <br>"중국은 (코로나19 관련) 개방성, 투명성, 책임감을 가지고 행동해왔습니다.” <br><br>코로나19 책임론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습니다. <br><br>미국 백악관은 16장 분량의 '대중국 전략 보고서'를 통해 "중국과의 상징적 관계를 맺는 데 더 이상의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”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중국 정부에 대해 공개적인 압박을 확대할 것이라고 선언한 겁니다. <br><br>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미국이 사실상 중국에 '신냉전'을 선포한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중국도 코로나19 책임론 등과 관련해 단호히 대응해 반격하겠다며 맞서고 있습니다. <br> <br>홍콩 국가보안법 제정도 미·중 갈등의 새로운 뇌관으로 떠올랐습니다. <br>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어제)] <br>"만약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 우리는 매우 강하게 다룰 겁니다." <br> <br>[자오리젠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(어제)] <br>"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문제는 중국 내정입니다. 외국은 간섭할 권리가 없습니다." <br><br>미국은 경제제재 조치에도 나섰습니다. <br><br>대량살상무기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권탄압 등을 이유로 중국 회사와 기관 등 33곳을 거래제한 명단에 올린 겁니다. <br> <br>미국의 중국 때리기가 선거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와 중국 정부의 공방전은 오는 11월 미 대선까지 격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다은입니다. <br>dec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한일웅 <br>영상편집 : 이혜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