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 <br> <br>22일 만입니다. <br><br>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다시 나타났습니다. <br><br>이번엔 군 간부 앞에 섰습니다. <br><br>‘핵전쟁 억제력’ 강화를 명분 삼았는데 바꿔 말하면 핵과 미사일 쉽게 내려 놓지 않는다/ 다시 강조하고 나선 셈입니다. <br><br>첫 소식 최선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회의장으로 들어서자 군 간부들이 기립박수로 맞이합니다. <br> <br>긴 지휘봉을 들고 직접 대형 스크린 내용을 짚으며 지시하는 모습이 공개됐습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] <br>"나라의 핵 전쟁 억제력을 더 한층 강화하고 전략 무력을 고도의 격동 상태에서 운영하기 위한 새로운 방침들이 제시되었습니다." <br> <br>'핵 전쟁 억제력 강화'는 북한이 핵 무기 개발의 명분으로 삼는 표현입니다. <br> <br>지난해 12월 대륙간탄도미사일 엔진 실험 등으로 미국을 압박한 이후 안 쓴 표현인데, 5개월 만에 다시 사용한 겁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 (지난 1월 1일)] <br>"핵 억제력의 경상적 동원태세를 항시적으로… 억제력 강화의 폭과 심도는 미국의 금후 대조선 입장에 따라…" <br> <br>또 '전략 무력의 격동상태'를 논의했다고 밝혀, 미사일 등의 발사가 임박했음을 시사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차두현 /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] <br>"미국 대화나 이런 쪽에서 북한이 대화에 복귀할 수 있는 명분이나 이런 것들을 만들어 주지 않으면 기존의 조건에서 타협할 마음이 없다라는 얘기로 볼 수가 있어요." <br> <br>김 위원장은 미사일 개발 일등공신인 리병철을 승진시켜, 새 전략무기 개발을 멈추지 않겠다는 의지도 내비쳤습니다. <br> <br>일각에선 '5.24 조치의 실효성 상실'을 언급한 남측을 향해 만족스럽지 않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구체적 도발 징후는 포착되지 않는 가운데 청와대는 북한 중앙군사위 결과를 분석중이라고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선입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 beste@donga.com <br>영상편집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