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정의연이 기부금을 ‘쌈짓돈’처럼 쓴 정황이 또 있습니다. <br><br>영화 김복동을 해외 상영한다며 천 3백만 원을 모금해 놓고는, 이걸 다른 사업 예산으로 돌려 놓은 겁니다. <br><br>상영료를 면제받았다 이유를 댔었는데 알고 보니 배급사엔 일언반구 없이 ‘셀프 모금’ ‘셀프 면제’ ‘셀프 전용’한 거였습니다. <br><br>권솔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고 김복동 할머니 /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] <br>“저는 서울서 온 (일본군 위안부) 피해자. 나이는 90세. 이름은 김복동입니다.” <br> <br>고(故) 김복동 할머니의 생전 모습을 그린 영화‘김복동’. <br> <br>1992년 피해 사실을 증언한 이래 27년간 일본의 사죄를 요구해 온 김 할머니의 일대기를 담았습니다. <br> <br>[고 김복동 할머니 /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] <br>“증거가 없다? 증거가 살아있는데 증거가 없다는 게 말이 됩니까?” <br> <br>지난해 8월 영화 개봉 직후 정의기억연대는 이 영화 관련 해외 캠페인에 필요하다며 1800만 원을 모금했습니다. <br> <br>이 가운데 1300만 원이 '해외 상영료’명목이었는데, 국내외 소액 기부금을 모은 돈이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정의연은 올해 1월 "배급사와 협의해서 상영료를 면제받았다”며 “이 돈을 2020년 정의연 해외캠페인 예산으로 쓰겠다"고 공지했습니다. <br> <br>배급사 측은 정의연이 해외상영료 모금을 한 사실도 몰랐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정상진 / 영화 '김복동' 배급사 대표] <br>“(해외) 상영료는 회당 300~500불 정도가 적당하다고 정의연과 협의했습니다. 그러나 만 불을 모금한 부분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습니다." <br> <br>정의연 측과 해외상영 관련 수익과 비용을 정산한 적도, 상영료 면제를 합의한 적도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다만 상영료를 받으면 아프리카 우간다에 추진 중인 '김복동 센터' 건립자금으로 기부할 계획이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정의연 측은 "배급사와 소통 부족으로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"며, "지급할 비용이 있으면 사후 정산을 통해 지급하겠다"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권솔입니다. <br> <br>kwonsol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민병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