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야 원구성 잰걸음…예결위·법사위 놓고 줄다리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내일(26일)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원내대표가 21대 국회 원 구성 협상을 위해 만납니다.<br /><br />핵심인 예결위원장과 법사위원장 자리를 놓고 줄다리기가 펼쳐질 전망인데요.<br /><br />각 당의 속내와 전략은 어떤지 서형석 기자가 짚어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1대 국회 원 구성의 법정시한을 2주 정도 남긴 여야가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더불어민주당은 일하는 국회의 첫 출발이 신속한 원 구성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일하는 국회 초석은 신속한 원 구성입니다. 원 구성 법정시한을 지켜야 한다는데는 주호영 원내대표도 이견 없을 것이라고 봅니다."<br /><br />과반을 훌쩍 넘는 177석을 확보한 민주당은 내심 정치지형의 변화를 상임위 배분에서도 반영해야 한다며 핵심인 법사위와 예결위원장 자리를 다 가져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미래통합당 역시 쉽게 물러날 분위기가 아닙니다.<br /><br /> "국회가 행정 권력을 견제하고 감시하는 차원에서 보면 법사위나 예결위는 전부 야당이 가져야 한다."<br /><br />다만 민주당은 코로나19발 경제위기 속에 재정 확대가 불가피해짐에 따라 예결위는 반드시 사수하되 법사위는 자구심사권 폐지를 전제로 협상카드로 사용할 수도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통합당 역시 두 상임위원장 자리 확보가 어렵다면 법사위를 사수하는 쪽에 무게를 싣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여야의 기 싸움이 팽팽한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은 오는 28일 여야 원내대표들을 만나 국회의 협력을 당부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다만 본격적인 협상은 통합당과 미래한국당이 합당을 마무리한 29일 이후부터나 가능할 전망이어서 원 구성을 마무리하기까지는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형석입니다. (codealpha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