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찰이 삼성에 대한 수사에 착수한 뒤 이재용 부회장을 소환하기까지는 무려 1년 6개월이나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수사가 지연된 검찰 내부 사정도 있었고, 또 그만큼 혐의 입증이 까다로웠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수사의 시작은 지난 2018년 11월 금융위 산하 증권선물위원회의 고발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제일모직의 자회사인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분식회계를 저지른 정황이 포착된 겁니다. <br /> <br />[김용범 / 당시 증권선물위원장 (재작년) : 회사의 재무제표상 자본잠식이 될 것을 우려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배력 변경을 포함한 다소 비정상적인 대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] <br /> <br />검찰은 이 같은 회계부정의 내밀한 목적이 이재용 부회장의 삼성 경영권 승계를 위한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검찰 수사 과정이 순조롭지만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검찰 인사로 사건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에서 특수4부로 옮겨갔고 조직 개편으로 부서 이름도 바뀌면서 경제범죄형사부에서 수사를 이어왔습니다. <br /> <br />그 사이 '사법농단'과 '조국 일가' 수사를 지원하느라 인력이 빠지기도 하고, 코로나19 여파로 한동안 소환 조사가 중단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수사의 정점인 이 부회장 소환이 늦어진 건 그만큼 이 부회장에 대한 혐의 입증이 까다로웠기 때문이란 분석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검찰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이 부회장이 많은 지분을 가진 제일모직의 가치를 고의로 부풀려 유리한 합병 비율을 만들었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합병 후 제일모직 자회사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자본잠식이 우려되고 합병 비율 정당성 논란이 불거지게 되자, 4조 5천억 원대 분식회계를 벌였다는 게 검찰 판단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계열사가 대거 동원된 합병 비율 조작과 회계부정이 합병의 최대 수혜자이자, 그룹 오너인 이 부회장을 위한 것으로 보고 그룹 아래 계열사부터 윗선을 향해 차곡차곡 수사를 확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단 검찰은 삼성그룹 지휘부였던 옛 미래전략실 차원에서 개입한 정황까지는 어느 정도 규명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미전실에서 일했던 최지성 전 부회장과 김종중 전 사장 등을 최근까지 잇달아 소환해, 이 부회장과의 연결고리를 입증하는 데 주력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[김종중 / 삼성 미래전략실 前 사장 : (고의로 주가조작 했다는 사실 인정하십니까?) …. ((삼성물산)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52612584136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