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 뉴스에이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유럽부터 미국을 거쳐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이른바 ‘어린이 괴질’ 의심환자가 국내에서 처음 발생했습니다. <br> <br>정확한 병명은 소아 청소년 다기관 염증증후군입니다. <br> <br>코로나 19에 걸린 소아 청소년에게 주로 나타나는데, 고열과 복통, 피부발진에 시달리다 심장이상으로 번지는 치명적인 병입니다. <br> <br>더 걱정스러운 건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가 아직 이 병에 대해 아는 게 별로 없습니다. <br> <br>첫 소식, 이상연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국내에서도 소아 다기관염증증후군, 이른바 어린이 괴질 의심 사례가 2건 신고됐습니다. <br><br>방역당국이 감시체계를 가동해 의료기관으로부터 신고를 받기 시작한지 하루 만입니다. <br> <br>[권준욱/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] <br>"2건은 모두 서울지역의 의료기관에서 신고 되었고 연령대는 10세 미만 1명이고, 10대가 1명입니다." <br><br>19살 미만 소아 청소년 환자 가운데 지속된 고열과 두 개 이상 기관에서의 염증이 있고 코로나19와 노출력이 있으면 신고 대상입니다. <br><br>알려진 바로는 3일 이상 발열에 피부 발진, 결막염, 구토, 복통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. <br> <br>일단 국내에서 확인된 두 의심환자는 코로나19 진단검사에서는 음성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방역당국은 과거 감염을 모르고 지났거나 코로나19 확진자와의 접촉가능성 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기관염증증후군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는데 코로나 확산 뒤 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코로나19와의 연관성이 밝혀질 경우 소아, 청소년 등 젊은층에게도 코로나가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는 뜻입니다. <br> <br>[김윤경 / 고대안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] <br>"소아 청소년이 성인보다 위험성이 낮지 않을까 하고 (기대했었는데)일부가 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면 당연히 불안해질 수 있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이 질병은 지난달 말 영국 런던의 어린이 8명에게서 염증성 질환이 나타나면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채널A 이상연입니다. <br><br>love82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승호 <br>영상편집 : 구혜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