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10년 전 별세한 심미자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의 일기장에서 윤미향 당선자와 정대협의 대한 지적이 나왔습니다.<br><br>심 할머니는 정대협이 먹고 살기 위해 시위를 했다고 적었습니다.<br><br>정대협을 고양이로, 할머니들을 생선으로 빗대기도 했습니다.<br><br>박건영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사내용]<br> 지난 2016년 정의기억연대 전신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서울 남산에 세운 조성물입니다.<br><br> 피해자 할머니 247명의 이름이 가나다순으로 새겨져 있지만 2008년 별세한 심미자 할머니 이름은 찾을 수 없습니다.<br><br> 정대협의 모금활동과 횡령 의혹에 대해 처음 문제제기를 했던 심 할머니는 정대협과 불편한 관계였습니다.<br><br> 16년 전 일기장에도 심 할머니의 심경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.<br><br> 심 할머니는 정대협을 고양이.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를 생선으로 빗대며 원색적으로 비난했습니다.<br><br> 또 "대사관 앞 시위는 정대협이 먹고 살기 위해서"라며, "윤미향 당시 대표가 재산을 모으기 위해 모금을 하고 있다"고 적었습니다.<br><br> 실제 심 할머니는 다른 피해 할머니 13명과 함께 2004년 정대협과 대한불교조계종 '나눔의 집'을 상대로 '모금행위 및 시위동원 금지 가처분' 신청도 했습니다. <br><br> 피해 할머니 이름을 팔아서 후원금을 받아놓고선 일부 할머니 외에는 혜택을 받지 못했다는 겁니다.<br><br> 15년 전 일기에는 정대협의 말을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, 인신공격과 모함을 당했다고도 적혀 있습니다. <br><br> 하지만 정의연 측은 특정 할머니들을 차별했다는 논란에 대해 "사연이 있고, 할머니들의 속사정은 언급하지 않겠다"고 밝혔습니다. <br><br> 이런 가운데 정의연 부실 회계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은 회계 담당자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박건영입니다. <br><br>change@donga.com<br>영상편집 : 김문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