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요즘 식당에 가보면 예전처럼 여러 사람이 한 찌개 냄비에 숟가락을 넣어 함께 떠먹는 건 꺼리는 분위기가 좀 생긴 것 같습니다. <br> <br>포스크 코로나 시대에 식사 문화가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는데, 정부가 새로운 캠페인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박정서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공용 수저통에 꽂힌 수저를 만지작 거리며 고릅니다. <br> <br>쓰던 젓가락으로 고기를 집어 상대방 접시에 건넵니다. <br> <br>또다른 식당에서는 식탁마다 공용 깍두기·양념통을 두고 각자 나눠 먹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이거 좀 약간 코로나 때문에 좀 그런 거 아니야? 이거 같이 쓰면 안 되잖아." <br> <br>같은 그릇에 담긴 반찬을 함께 집어먹는 한국의 식사 문화. <br> <br>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바꿔야 할 습관이 됐습니다. <br> <br>위생에 대한 걱정 때문에 식당 방문을 꺼려하는 시민들은 늘었습니다. <br> <br>[홍성덕 / 충북 옥천시] <br>"직접 제가 눈으로 보고 위생적으로 어떻게 이뤄지는지 100% 볼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…" <br> <br>[김도영 / 부산 사하구] <br>"커피숍 같은데는 테이크 아웃 해서 바로 나가고 앉아서 먹지 않고. 식당도 이제 아예 안들어 가고." <br> <br>[박정서 기자] <br>"정부는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예방을 위해 식사 문화 개선 캠페인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특히 중요한 것은 '음식을 덜어먹는 습관'이라고 강조했습니다." <br> <br>찌개류와 반찬 등은 국자로 개인 식기에 덜어 먹고, 수저는 공용 통에 두는 대신 따로 나눠줘야 합니다. <br> <br>식당에서 음식과 반찬은 1인용으로 제공하는 게 좋다고 권고합니다.<br> <br>시민들도 사소한 식습관을 바꾸기 위해 고민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문형철 / 부산 남구] <br>"옛날 같은 경우는 같이 떠먹고. 지금은 이제 따로따로 웬만하면 개별적으로 먹으려고 하고 있죠." <br> <br>[오윤상 / 대전 유성구] <br>"숟가락도 이렇게 종이로 덮어서 놓는다든가 아무래도 그러면 더 위생적이지 않을까." <br> <br>전문가들은 여럿이 함께 먹는 식사 문화 자체를 바꿔야 한다고 조언합니다. <br> <br>[김탁 / 순천향대 감염내과 교수] <br>"소수의 사람들이 모여서 가급적이면 짧은 시간 동안 식사를 하고 헤어져야 할 것 같고." <br> <br>포스트 코로나 시대, 식사 위생 수준부터 한층 높여야 감염병 위험을 막을 수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<br>emotion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김민석 김현승 이승훈 <br>영상편집: 구혜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