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수도권 연쇄 확산의 진원지는 확진자가 86명까지 늘어난 쿠팡 물류센터입니다. <br> <br>작업장에 있던 직원의 모자와 신발에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될 정도로 광범위하게 퍼졌는데요. <br><br>경기도는 당장 센터 영업을 중지시켰습니다. <br> <br>우현기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경기도청 직원들이 물류센터 정문에 집합금지 명령문을 붙입니다. <br> <br>경기도가 쿠팡 부천 물류센터에 2주간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내린 데 따른 조치입니다. <br> <br>사실상 영업금지 또는 시설 폐쇄에 해당하는 조치로 경기도가 개별 기업 사업장에 이런 행정명령을 내린 적은 처음입니다. <br> <br>[이재명 / 경기도지사] <br>"확진자 인지 후에도 수백 명의 관련자들이 방치돼서 위험에 노출됐고 역학조사에 필요한 배송직원 명단을 요청했음에도 장시간 지연돼서…" <br> <br>방역당국도 바이러스가 물류센터 내부에 광범위하게 퍼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직원들이 착용하는 모자와 신발을 수거해 검사해보니 바이러스가 검출됐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마스크 미착용 등 허술한 방역관리가 집단 감염으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. <br> <br>회사 측이 건물 폐쇄 전날까지 출근자를 찾는 문자를 직원들에게 보낸 사실까지 드러나며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런 가운데 부천에 이어 경기 고양시 쿠팡 물류센터도 폐쇄됐습니다. <br> <br>20대 사무직 직원이 확진 판정을 받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이 직원은 앞서 확진판정을 받은 부천 물류센터 직원과 접촉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> <br>현재 근무자 5백 명에 대해 전수조사가 진행중입니다. <br> <br>사태가 날로 악화되고 있지만 쿠팡 측은 아직 사과 등 구체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. <br><br>whk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홍승택 <br>영상편집 : 이희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