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미국, 홍콩에 특별지위 박탈…‘반중파’ 대만과 더욱 밀착

2020-05-28 50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중국이 홍콩보안법 통과를 강행하자 미국이 바로 보복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홍콩의 특별대우를 박탈하고 홍콩을 중국 본토의 도시들과 똑같이 취급하겠다는 것인데, '세계적 금융 허브' 홍콩에 대한, 사망선고라는 평가가 나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김정안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미국은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후에도, 2047년까지 자본주의 경제를 보장하는, 일국양제 약속에 따라, 관세 면제와 무비자 등 <br>홍콩에 대한, 특별지위를 유지해 왔습니다. <br><br>[크리스 패튼 / 홍통 마지막 총독(1997년)] <br>“확고부동한 운명에 따라 이제 주권은 홍콩인에 돌아갑니다.” <br><br>그러나 미국의 반대를 무릅쓰고 중국이 보안법을 통과시키자, 23년간 유지했던 홍콩의 특별지위를 박탈하는 수순에 돌입했습니다. <br> <br>[마이크 폼페이오 / 미 국무장관(지난 21일)] <br>“중국은 1949년 이래 악랄한 독재 정권, 공산주의 정권에 의해 통치돼 왔습니다.” <br><br>중국과 껄끄러운 반중파 대만 총통과는 더 긴밀히 연대하겠단 뜻도 분명히 했습니다. <br> <br>[매슈 포틴저 / 백악관 NSC부보좌관(대만 총통 연임 축하메시지)] <br>“미국은 경제·문화·교육·안보 등 다방면에서 대만과 긴밀히 교류하길 기대합니다.” <br><br>다만 미국이 당장 전면적 박탈이 아닌 부분적 대응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 <br> <br>이런 가운데 13개 혐의로 기소된 화웨이의 멍안저우 부회장은, 캐나다 법원이 범죄인 인도기준에 충족한다고 판결함에 따라, <br>미국으로 보내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. <br> <br>미국은 중국을 뺀 경제공동체, 'EPN' 결성을 추진하며, 캐나다, 일본 등 동맹국들의 참여를 압박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미중 양국과 여러 이해관계로 얽힌 우리 정부의 고민 또한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뉴스 김정안입니다. <br><br>jkim@dona.com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최동훈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