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생 생명체, 미세 플라스틱 먹이로 오인해 섭취 <br />생태계 플라스틱 오염 차단 식물성 플랑크톤 개발 <br />식물성 플랑크톤, 전체 먹이사슬 1차 공급자 역할<br /><br /> <br />플라스틱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해양과 수생 생태계 오염이 날로 심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개발해 수생 생태계 오염을 막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이정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바닷속 미세 플라스틱을 먹고 고통받거나 죽는 어패류가 급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수생 생명체는 미세 플라스틱을 먹이로 오인해 먹기 때문에 중금속이나 방사능처럼 먹이 사슬을 통한 플라스틱 생물 농축이 일어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세 플라스틱으로 오염된 어패류가 우리 식탁에 오르고 있다는 얘기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이 같은 수생 생태계의 플라스틱 오염을 차단할 수 있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용재 /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세포공장연구센터 :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는 박테리아로부터 플라스틱 분해 효소 유전자를 추출해서 그것을 플랑크톤에 맞게 개량한 후 유전자 형질전환을 통해 새로운 플라스틱 분해 플랑크톤을 개발한 기술입니다.] <br /> <br />식물성 플랑크톤은 수생 생태계 1차 생산자로서 빛으로부터 포도당과 같은 영양분을 합성해 전체 먹이사슬에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은 미세 플라스틱에 의한 수생 생태계의 연쇄 오염을 원천적으로 예방하고 먹이사슬을 통한 플라스틱 생물농축을 차단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연구팀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페트병을 완전히 분해하는 과정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김희식 /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세포공장연구센터장 : 수생 생태계의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 결과입니다. 따라서 수산 양식이나 해양 생태계 복원 같은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번 연구 결과는 미생물 분야 국제학술지 '마이크로 바이얼 셀 팩토리즈'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정우[leejwoo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0052919112977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