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중국이 국가보안법으로 홍콩 자치권에 손을 대자. 미국도 가만 있지 않았습니다. <br><br>홍콩에 대한 특별 지위를 박탈하겠다. 응징에 나선 겁니다. 그렇다고 움찔할 중국이, 아니죠. 극단으로 치닫는 양국 분위기를 김정안 워싱턴 특파원이 전하겠습니다<br><br>[리포트]<br>기자회견 초반부터 코로나19 중국 책임론을 강조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] <br>"세계는 중국으로부터 바이러스에 대한 답을 들어야 합니다. 우리는 투명함을 원합니다." <br><br>"해악", "은폐", "자유 질식". <br><br>강도 높은 비난과 함께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처리에 대한 대응 조치를 내놨습니다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] <br>"우리는 홍콩에 부여한 특별지위 조치를 폐지하는 절차를 시작할 것입니다." <br><br>중국이 홍콩의 자치권 보장 약속을 어겼다며 관세와 비자 해택 등 홍콩에 부여했던 특별지위를 없애겠다고 밝힌 겁니다. <br><br>또 홍콩의 자치권을 침해에 관여한 중국과 홍콩 당국자들에 대한 제재 등의 조치도 취하겠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아울러 중국이 세계보건기구, WHO를 완전히 장악하고 있다며 관계 단절을 선언했습니다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] <br>"우리는 세계보건기구와 관계를 끊고, 그 자금을 전 세계의 다른 곳으로 돌릴 것입니다." <br><br>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일각에서 우려한 미·중 1단계 무역합의 철회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중국 매체는 홍콩의 특별지위 박탈 등과 관련해 강력 비난하고 나섰습니다. <br><br>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"무모하고 독단적인 조치"라며 "큰 대가를 치를 것”이라며 경고했습니다. <br><br>"미국 조야에선 인권과 민주주의를 강조해온 한국 정부가 홍콩 사태에 대해 소극적이라는 비난의 목소리도 있습니다. <br> <br>오늘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를 계기로 미국의 반중 대열 동참 요구는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."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김정안입니다. <br><br>jkim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정다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