홍콩보안법 후폭풍에 홍콩인 '엑소더스' 현실되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'아시아의 진주'로 불렸던 홍콩에서 홍콩인들이 대거 이탈하려는 조짐이 포착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 강행 이후 정치적, 경제적 미래가 불확실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상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의 홍콩보안법 강행으로 불안감이 커진 홍콩인들이 정든 삶의 터전에서 탈출을 고민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기존과 같은 수준의 자유를 누리지 못하리라는 두려움에, 미국이 홍콩에 대한 특별 지위를 박탈하면 경제난까지 닥칠지 모른다는 우려가 겹쳤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홍콩 민주진영에서는 홍콩보안법이 시행되면 예전처럼 자유를 누리기 어려울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보안법이 공표되고 나면 홍콩은 더는 자유무역항으로 승인받지 못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이런 가운데 현지의 이민 컨설턴트들은 최근 하루 수백 여건의 이민 상담 문의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아일랜드, 캐나다, 호주, 영국 등 영어권 국가가 선호되지만, 최근에는 대만이 새롭게 이민 선호지로 떠오릅니다.<br /><br />대만은 600만 대만 달러, 우리 돈 2억5천만원 이상을 투자해 현지인을 고용하면 영주권을 주는데, 대만으로 이주한 홍콩 시민은 지난해 2018년보다 40% 이상 늘었습니다.<br /><br />'하나의 중국'에 맞서 대만독립을 주장하는 차이잉원 대만 총통도 홍콩 민주화 시위를 적극 지지하면서 홍콩인을 돕겠다는 메시지를 지속 발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정부가 이미 홍콩의 친구들을 돕기 위한 특별 전담팀을 구성했음을 알립니다."<br /><br />지난 1997년 홍콩을 중국에 반환한 영국도 홍콩인에 대한 시민권 부여 확대를 검토하는 등 홍콩 문제에 적극 나설 태세입니다.<br /><br />도미닉 라브 외무장관은 "영국해외시민여권을 가진 사람들이 영국으로 올 수 있도록 권리를 부여하겠다"고 거듭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중국은 홍콩보안법 관련 타국의 개입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논란은 지속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상현입니다. (hapyry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