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런 역차별도 있습니다. <br> <br>드라마나 영화를 유료 채널로 다시 볼 때, <br> <br>국내사업자보다 해외 사업자가 규제를 덜 받아서 같은 영화여도 장면이 다를 수 있습니다. <br> <br>조현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달 종영한 tvN의 인기 드라마 '슬기로운 의사생활'의 한 장면입니다. <br><br>같은 장면을 국내 유료 VOD와 해외 사업자인 넷플릭스를 통해 시청해봤습니다.<br><br>응급실에 실려온 환자의 다리에 구더기가 들끓는 장면을 비교해봤는데 해당 장면을 여과 없이 그대로 내보낸 넷플릭스와 달리 국내 VOD 영상에는 흐림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. <br> <br>같은 장면인데, 왜 이런 차이가 날까. <br> <br>서로 다른 규제 체계가 적용되기 때문입니다. <br><br>국내 유료 VOD 채널이 실시간 방송 다시보기 서비스를 할 경우 사후규제를 받습니다. <br> <br>심의에 어긋나는 장면이 있다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제재를 거쳐 흐림 처리한 영상을 올리는 겁니다. <br><br>하지만 넷플릭스 같은 해외 사업자는 사후 규제를 안 받습니다.<br> <br>이같은 심의 비대칭으로 국내 사업자가 역차별 받고, 콘텐츠 시장이 왜곡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방송시장의 비대칭 심의를 바로잡기 위해 지난 20대 국회때 관련 법안이 발의됐지만 무산된 바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현선입니다. <br> <br>chs0721@donga.com <br>영상취재 김용균 <br>영상편집 김문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