삐라 금지 추진에도 압박 높인 北…정부 고심 가중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탈북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 문제를 놓고 북한의 압박 수위가 연일 거세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북한 관영매체는 남북 관계 경색의 책임을 우리 정부에 돌리며 맹비난했는데요.<br /><br />남북 협력 사업을 추진한다는 정부의 고심은 깊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방준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의 대북전단 금지 법안 추진에도 북한의 반응은 냉랭했습니다.<br /><br />통일전선부 대변인 명의의 담화를 통해 연락사무소 철폐를 예고한 데 이어, 관영매체를 동원해 압박 수위를 높였습니다.<br /><br />노동신문은 "버러지 같은 자들이 우리의 최고 존엄까지 건드려도 남측에서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"고 맹비난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접경 지역에서 무력 도발 가능성까지 시사한 만큼 당장 판문점 견학 재개 등 정부 사업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단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접경 지역에서 평화 분위기를 띄우며 남북 협력 사업을 추진하려던 정부로선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제약과 환경이 해결될 때까지 기다리기보다는 우리가 현재 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들을 적극적으로 찾아보자…"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우리 정부의 남북 협력 구상에 대한 미국의 견제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남북 관계의 어떤 진전도 북한 비핵화 진전과 함께 가야 합니다."<br /><br />남북 관계가 북미 관계보다 앞서 나가서는 안 된다는 '속도조절론'을 미국이 재확인한 겁니다.<br /><br />북한의 압박과 미국의 견제에 우리 정부 대북 구상이 갈 곳을 잃은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방준혁입니다. (bang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