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흑인 사망을 규탄하는 항의 시위가 유럽에서도 들끓고 있습니다. <br> <br>흑인 노예를 거래했던 17세기 영국 상인 동상이 강물에 처박혔습니다. <br> <br>미국에선 트럼프 대통령 편이었던 정치인들이 속속 돌아서고 있습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시위대가 동상의 목을 밧줄에 묶어 끌어내립니다. <br><br>영국의 17세기 노예무역상 콜스턴의 동상은 이리저리 굴러다니다 급기야, 강물로 처박힙니다. <br><br>영국 주재 미국 대사관이 런던의 시위대에 포위되는 등, 미국에 이어, 유럽 주요 도시들로, 흑인 사망 사건에 항의하는 시위가 확산되고 있습니다. <br><br>[런던 시위참가자] <br>"미국만의 문제도 아니고 경찰 폭력성의 문제도 아니에요. 인종차별이 근본 문제라고 생각해요." <br> <br>미국의 시위 규모는 늘고 있습니다. <br> <br>통합보단 갈등을 부추긴다며, 트럼프식 대응에 항의하는 백악관 앞 시위에는 공화당 중진 의원까지 가세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<br>“(의원님, 어떻게 여기까지 오게 되셨나요?) <br>우리는 인종주의에 맞서야 합니다. 흑인의 생명도 중요하다는 걸 알려야 합니다.” <br> <br>걸프전의 영웅인 파월 전 국무장관도, 자신은 공화당 소속이지만, 대선 때 트럼프 대통령을 찍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습니다. <br> <br>[콜린 파월 / 전 국무장관] <br>“저는 정치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조 바이든과 매우 가깝습니다. 그와 35~40년간 함께 일했습니다. 저는 그에게 투표할 겁니다.” <br><br>최근엔 트럼프 대통령의 큰 딸인 이방카 보좌관이 대학 졸업식 영상 축사를 하려다 학생들 거부로, 취소당하는 등, 그에 대한 반감이 더욱 확산되는 분위기 입니다. <br><br>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나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입니다. <br><br>질서와 안정을 강조하며, 백인 지지층을 향한 메시지 발신에만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지난 1일 기자회견)] <br>"나는 미국의 법을 지키겠다고 선서했고 그렇게 할 겁니다. 나는 법·질서의 대통령이자, 평화 시위의 동반자입니다." <br> <br>현지 시간 내일 휴스턴에서 열리는 플로이드의 장례식에 바이든 후보는 참석하는 반면, 트럼프 대통령은 별다른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 <br>영상편집 박형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