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49주 연속으로 쭉쭉 오른 서울 아파트 전세 가격, 이제 평균값도 5억 원에 가까워졌습니다. <br> <br>강력한 대출 규제와 코로나 19 확산 때문에 내집 마련보다는 전세로 몰리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홍유라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지어진지 10년 된 서초구의 한 아파트입니다. <br> <br>지난해 12억 원 선에 거래되던 전용면적 84제곱미터 전세 아파트가, 지난달 13억 5000만 원에 거래됐습니다. <br> <br>이 일대 신축 아파트 전세값은 더 빠르게 오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[유재환 / 서울 서초구 공인중개사] <br>"(신축 아파트 전셋값은) 작년 시세에 비해 한 3, 4억 원 정도 오른 상태고요. 물량은 많지 않기 때문에 기존에 거주하는 분들은 재계약 위주로…" <br><br>뿐만 아니라, 강남구와 송파구 아파트 전세가격도 1년 새 훌쩍 뛰었습니다.<br> <br>강력한 대출 규제에 코로나 19가 확산돼 매매가 위축되면서, 집을 사겠다는 사람은 줄어든 반면, 전세 수요는 늘어났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이렇게 강남 3구 중심으로 이뤄진 전세금 급등은, 서울 전 지역의 아파트 전셋값도 끌어올렸습니다. <br><br>"서울 아파트의 평균 전세 가격은 1년 만에 2400만 원 정도 올라, 5억 원에 육박했습니다." <br> <br>[함영진 / 직방 빅데이터랩장] <br>"강남은 재건축 이주 수요와 함께 입주 물량이 감소하며 전세 매물 소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. 하반기도 전세 가격 오름세는 이어질 걸로 판단…" <br> <br>지난해 7월 첫째 주부터 이번달 첫주까지 49주 연속 오른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, <br> <br>고가 전세 현상이 전세 대란으로 이어지기 전에 세입자 주거안정을 위한 공급 확대 대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. <br> <br>채널 A 뉴스 홍유라입니다. <br>yura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박찬기 <br>영상편집 : 이재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