홍콩 민주화시위 1년…민주진영, 다시 거리로 나서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해 6월 홍콩의 송환법 반대시위로 재점화된 민주화 시위가 오늘로 1년을 맞았습니다.<br /><br />본토에 맞서 자치권을 지키려는 홍콩의 민주화 운동은 올해 초 불씨가 꺼지는 듯했지만 최근 중국의 홍콩보안법 강행으로 재점화되는 분위기인데요.<br /><br />이제 관심은 홍콩의 미래를 좌우할 중대고비로 꼽히는 9월 입법회 선거에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상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년 전 오늘, 동양의 진주로 불린 홍콩의 거리는 인파로 가득했습니다.<br /><br />홍콩 범법자를 본토에서도 처벌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범죄인 인도법 즉 송환법안을 홍콩 당국이 추진하자 민주진영이 강력 반발해 일어선 겁니다.<br /><br />740만 홍콩 인구 가운데 100만 명이 거리에 나섰고 9천명에 달하는 시위대가 체포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송환법 철회를 끌어낸 야권은 행정장관 직선제 등으로 요구를 확대하며 민주화 운동을 이어갔지만, 관철시키지는 못했습니다.<br /><br />그래도 11월 구의원 선거에서 범민주 진영이 압승을 거두면서 나름 큰 성과를 올렸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홍콩의 이탈을 우려하는 중국의 반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당국은 본토에서 홍콩보안법 입법을 강행하는 등 홍콩의 원심력을 차단하기 위한 행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홍콩 민주진영은 코로나19 사태에다가 민주화 시위에 대한 당국의 강경대응으로 어려운 상황이지만 다시 거리로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지난 4일 텐안먼 31주년 집회에 1만명 이상 시민이 모여 촛불을 밝히고 반중 구호를 외친 것은 저항의 불씨가 살아있음을 보여준다는 평가도 있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국제사회가 홍콩과 함께 국가보안법에 반대해줄 것을 요청합니다."<br /><br />민주진영은 앞으로 총파업과 동맹휴학 등으로 투쟁 분위기를 이어간다는 방침이지만 상황이 녹록치는 않습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도 오는 9월 예정된 총선 격인 입법회 선거가 홍콩의 미래를 결정할 중대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관측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상현입니다. (hapyry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