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단살포가 도화선됐나…김여정 입지강화 포석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파상적인 대남 압박에 나서는 배경을 놓고 김여정 제1부부장의 입지 강화 의도 등 여러 해석이 나오는데요.<br /><br />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안보라인을 중심으로 북한 의도를 분석하고 대응책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성승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차 남북정상회담을 일주일 앞두고 개통된 핫라인은 사상 처음으로 남북 정상이 언제든 직접 소통할 수 있게 됐다는 의미가 있습니다.<br /><br />문재인 정부 대북정책의 상징과도 같은 핫라인이 2년 만에 단절 위기에 놓인 만큼 청와대로서는 고심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청와대는 일단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를 소집하지 않은 채 입장도 내놓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대신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북한이 강경 대응에 나선 배경을 분석하고 대응책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우선 북미, 남북 관계 정체 등 이전부터 쌓여온 불만에 대북전단이 도화선이 된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한반도 문제를 푸는 데 남측이 더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메시지라는 해석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남북 공동방역, 철도연결 등 각종 사업을 이미 제안한 만큼 대북제재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행동이 수반된다면 대화 복원은 가능하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김여정 제1부부장의 담화가 나오고 곧바로 실행에 옮겼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입니다.<br /><br />내부적으로는 탈북민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경고와 주민들에게 권력 2인자로서 입지를 공고히 하는 차원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일단 청와대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도 남북대화를 복원하는 노력에 공을 들일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다음주 6·15 남북 공동선언 20주년 등을 계기로 문 대통령이 어떤 형태로든 대화 재개를 위한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성승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