北조치에 정치권 엇갈린 반응…원구성 협상 '평행선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남북간 연락 채널을 끊은 것을 두고 정치권의 대응 방식도 엇갈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회로 가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준흠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민주당은 북한과 대화를 통한 관계 개선이 해법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남북 통신채널 차단에 유감을 표시하면서도, 2018년 4월 27일,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서명한 4·27 판문점 선언을, 당론으로 비준하는 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김태년 원내대표는 "이번 사태가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무단살포에서 촉발됐다"며 대북전단 금지법 의지도 재차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반면 미래통합당은 우리정부의 외교 실패를 집중 부각했습니다.<br /><br />통합당은 그간의 평화 프로세스가 파탄에 이르렀다며 새 대북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<br /><br />긴급안보간담회를 열고, 실패한 대북정책에 대해서 대통령이 대국민 사과하고 안보라인을 전면 교체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적대행위를 중지하기로 한 9.19 군사합의가 치명적 국방공백을 초래했다며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여야는 오늘 일단 각 상임위 위원을 몇명으로 할지를 결정했는데요.<br /><br />상임위원장 배분은 여전히 평행선이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여야는 조금 전인 오후 3시에 국회 본회의를 열고, 각 상임위 위원 수를 몇 명으로 할 것이냐를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복지위 2명과 산자위 1명씩을 각각 늘리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방역과 경제 위기 대응에 집중하겠다는 의미입니다.<br /><br />본회의 직후 여야 원내대표는 박병석 국회의장 주재로 별도 회동을 갖고 원 구성 협상을 이어가려 했지만, 회동은 연기됐습니다.<br /><br />일단 의장이 정한 시한은 오는 금요일까지입니다.<br /><br />이때까지 합의를 끝낸 뒤 이를 본회의에서 통과시키자는 것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서로 법사위원장을 가져가겠다는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아직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(humi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