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방호복 대신 전신가운?…“총 없이 전쟁터 나가란 말”

2020-06-10 12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이렇게 집단감염이 일어날 때마다 그 지역 선별진료소는 비상에 걸리죠. <br> <br>어제는 인천에서 무더위에 방호복을 입고 일하던 간호사 3명이 실신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보건당국이 오늘 두꺼운 방호복 대신 전신가운을 입도록 지침을 바꿨는데,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. <br> <br>이다해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학교에 설치된 선별진료소에 구급차가 멈춰섭니다. <br> <br>들것에 실려 구급차에 오른 건 간호사들이었습니다. <br> <br>숨가쁜 목소리로 구급대원에게 증상을 말합니다. <br> <br>[간호사] <br>"땀 흘려서 단순 탈진이거든요. 레벨D(방호복)를 너무 오래 입어가지고." <br> <br>어제 오전 11시 50분, 선별진료소에 근무하던 간호사 3명이 탈진한 겁니다. <br> <br>선별진료소 근무자 건강에 적신호가 켜지자, 보건당국은 방호복 외에 수술용 가운도 권장하는 걸로 지침을 바꿨습니다. <br><br>비닐 재질의 레벨D 방호복이 전신을 감싸는 반면, 수술용 가운은 부직포 재질에 아래가 트여있어 바람이 잘 통합니다. <br> <br>[최선영 / 광주서구보건소 간호사] <br>"(레벨D 방호복은) 안에 땀이 많이 차기도 하고요. 그래서 많이 더운 느낌이 많습니다. (전신가운은) 아래가 틔여 있다보니까 움직이기는 조금 더 편한 것 같아요." <br> <br>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. <br> <br>[선별진료소 관계자] <br>"의사 입장이나 (검체 채취)하는 사람은 겁나서라도, 위험한데 이게 말이 되냐고, 총 안 주고 전쟁터 나가라는 것과 똑같다고…" <br> <br>[최원석 /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] <br>"감염내과적으로 불가능한 옵션은 아닙니다. 다만 더운 건 마찬가지여서 의료진들의 피로도는 크게 낮추기 어렵고…" <br> <br>방역당국은 지침 변경과 함께 의료진을 위한 냉방시설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"야외 선별진료소가 있는 보건소는 의료진을 위해 냉방시설이 있는 휴게실을 긴급 설치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이와 함께 기온이 크게 오르는 오후 시간대 선별진료소 운영을 축소하는 방안도 추진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 <br>cando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김용균 <br>영상편집: 이태희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