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껍질이 깨지거나 변이 붙어서 폐기해야 하는 불량 달걀을 '오염란' 이라고 부릅니다. <br> <br>이런 불량 계란을 시중에 유통하거나 요리해서 판매한 업체가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. <br> <br>권솔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초록색 조끼를 입은 경기도 특별사법경찰이 음식점에 들이닥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민생특별사법 경찰관이에요. 저희가 지금 불법 계란 유통 관련 수사하고 있어요." <br> <br>주방으로 들어가보니, 30개 한 판인 달걀은 절반 넘게 깨지거나 구멍이 나 있습니다.<br> <br>[현장음] <br>"깨진 계란 쓰시면 안 되는 거 아시죠. 다 깨졌네. 이건 식용이 아니라 비식용이에요." <br> <br>이런 달걀로 음식을 만들어 판 겁니다. <br> <br>달걀을 납품한 업체도 단속에 걸렸습니다. <br> <br>[깨진 달걀 유통업자] <br>(이렇게 해서 사가는 사람이 사가는 거예요?) <br>"그분만 가지고 가요. 오란(이물질이 붙은 달걀) 가지고 가는 분." <br> <br>털이나 변이 묻어 검사에서 탈락한 달걀이 잔뜩 놓여있습니다. <br> <br>[깨진 달걀 유통업자] <br>(이건 팔기도 하고 먹기도 하는 거예요?)"네." <br>(분변이 완전히 붙어서 오염란인데?)"그러니까 제가 따로 빼놓은 거예요.)" <br> <br>경기도 특별사법 경찰단은 폐기해야 할 달걀을 유통하고 판매한 업체와 이를 구매한 음식점 등 65곳을 적발했습니다. <br><br>농장에서 깨진 달걀 한 판을 400원에 판매하면, 유통업체가 식당에 1천 원에 파는 방식입니다. <br> <br>한 유통업체는 오염된 달걀 2770판을 사들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= <br><br>단속된 한식 뷔페 음식점 관계자는 "원재료 값을 한 푼이라도 아끼려고 오염란을 사들였다"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> <br>특사경은 이 업체들을 축산물 위생관리법과 식품위생법 위반 등 혐의로 검찰에 넘기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권솔입니다. <br> <br>kwonsol@donga.com <br> <br>영상출처 : 경기도 특별사법경찰 <br>영상편집 : 김지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