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런 달래기 노력에도 북한은 우리 기대와 반대 방향으로 달려가고 있습니다. <br> <br>북미 정상이 싱가포르에서 만나 비핵화에 합의한 지 꼭 2년이 되는 오늘, <br> <br>북한은 "이제 대가 없는 선물은 없다"며 핵무력 시위를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유주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도널드 트럼프 /미국 대통령 (2018년 6월)] <br>"오늘 굉장히 좋은 만남을 가졌고, 아주 좋은 관계를 구축했습니다." <br> <br>[김정은/ 북한 국무위원장(2018년 6월)] <br>"역사적인 이 만남에서 지난 과거를 딛고 새로운 출발을 알리는 역사적인 문건에 서명하게 됩니다." <br> <br>완전한 비핵화에 합의했던 2년 전 싱가포르와 달리 2년이 지난 지금 북미관계는 확연히 달라졌습니다. <br> <br>리선권 북한 외무상은 담화를 통해 "싱가포르에서 악수한 손을 계속 잡고 있을 필요가 있겠는가"라며 <br> <br>"다시는 아무러한 대가도 없이 미국 집권자에게 치적 선전감이라는 보따리를 던져주지 않을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 <br>북미대화에 나서지 않는 미국을 압박하기 위해 싱가포르 합의 파기 가능성을 언급하고 나선 겁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"미국의 군사적 위협 관리를 위해 보다 확실한 힘을 키우겠다”며 핵 무력 증강까지 예고했습니다.<br> <br>실제 새로운 대륙간탄도미사일이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도발을 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'대가 없는 비핵화 협상은 안 하겠다'는 북한과 '대화의 문은 열려있다'는 미국 사이 힘겨루기가 본격화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. <br> <br>grace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김지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