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서로 거리를 두며 코로나19 감염은 조심해야 겠지만, 사람 사이 정까지 없어지기도 합니다. <br> <br>힘들게 아르바이트를 구한 젊은이들, 편의점 일이나 배송 업무를 하다가 고객들에게 바이러스 취급을 당한다는 서러움을 호소합니다. <br> <br>우현기 기자가 들어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의정부시에 있는 편의점에서 6개월 넘게 아르바이트생으로 일하고 있는 20대 여성 이모 씨. <br> <br>코로나19 사태 이후 편의점을 찾는 손님들의 태도에 마음의 상처를 입을 때가 많습니다. <br> <br>[이모 씨 / ○○편의점 아르바이트생] <br>"돈 받을 때도 사람들이 던지기 일쑤고. 거스름돈을 드리려고 해도 제가 평범하게 동전을 쥐면은 그거를 기분 나빠하시고 끄트머리 잡아서 동전 달라는 분들도 되게 많았어요." <br> <br>하루 종일 마스크를 쓰고 일하는 아르바이트생에게 말을 함부로 하는 손님들도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[C씨 / △△ 편의점 사장] <br>"(아르바이트생이) 물건 진열하고 잠깐 마스크 벗고 땀 닦고 있는데 손님이 와서 코로나 옮으면 책임질 거냐면서 가셨대요. 울면서 전화가 왔어요." <br> <br>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을 대하는 서비스직인데다가, 권한 없는 아르바이트생이란 이유로 잠재적 감염자 취급을 받는 겁니다. <br> <br>상품을 배송하는 택배 기사들도 비슷한 심정을 하소연합니다. <br> <br>[D씨 / △△택배 배송기사] <br>"집 앞에 (택배) 가져다 놓는다고 가면 (고객이) 소독약을 뿌릴 수는 있어요. 말도 안 하고 문 열자마자 뿌리고. 눈에 들어가서…" <br><br>배송기사가 모인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엘리베이터에서 "함께 탄 주민이 계속 숨을 참았는지 '푸하'하고 뛰쳐나가듯 내렸다"거나 <br>"바이러스 취급당해 힘들다"는 하소연이 올라오고 있습니다.<br> <br>감염병 예방 대비는 철저해야 하겠지만, 아르바이트생이나 배송 기사 같은 대면 서비스직 종사자에 대한 혐오나 화풀이로 번지는 건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. <br><br>whk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기범, 이기상 <br>영상편집 : 장세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