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170억 들인 남북연락사무소…642일 만에 ‘허무한 붕괴’

2020-06-16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한 건물 2층에서는 남측이, 4층에서는 북측이 일했던 남북연락사무소는 그저 한순간에 사라졌습니다. <br> <br>170억 원이 투입된 평화의 상징, 그 허무한 붕괴가 더 안타깝습니다 <br> <br>이민찬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4.27 남북 정상회담 성과로 지난 2018년 9월14일 개성공단에 문을 연 남북공동연락사무소. <br> <br>[현장음] <br>"하나, 둘, 셋." <br> <br>개소식 당시 남과 북의 유력 정치인들이 참석했고,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첫 만남을 영상으로 띄우며 <br>대대적인 홍보도 했습니다. <br> <br>[조명균 / 당시 통일부 장관(지난 2018년)] <br>"남북 두 분 정상께서 4월27일 합의한 판문점 선언과 온 겨레의 소망을 받들어 또 하나의 역사가 시작됩니다." <br> <br>[리선권 / 당시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(지난 2018년)] <br>"공동연락사무소의 개소는 북과 남이 우리 민족끼리의 자양분으로 거두어들인 알찬 열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." <br><br>총 4층 짜리 건물로 서울과 연락이 가능한 전화와 팩스가 설치된 남측 사무실은 2층에 위치했습니다. <br> <br>4층은 북측 사무실이, 3층엔 남북이 마주앉는 회담장이 있습니다. <br> <br>이 건물에는 평소 남북 인력 30여명이 상주하며 남북 현안을 논의해 왔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이를 위해 지난 2005년 설치된 남북교류협력협의사무소 건물 리모델링 비용 100억원을 포함해 최근 3년 동안 169억원 가량을 투입했습니다. <br> <br>개소 이후 남북은 교류협력사업, 사체 인도 등과 관련해 총 132건의 통지문을 주고 받았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남북은 지난 1월 코로나19 확산으로 연락사무소 운영을 잠정 중단했습니다. <br> <br>북한은 지난 9일 대북 전단을 이유로 통신선을 모두 끊었고, 오늘 건물까지 폭파하면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642일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민찬입니다. <br> <br>leemin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이혜진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