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북한은 오늘 오전에 추가 도발을 하나 더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대남전단, 일명 삐라를 우리 남쪽에 살포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그런데 이 소식을 듣고도 우리 통일부 차관은 대북전단 살포를 규제하겠다며 현장 점검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황하람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 2016년 경기도 일산에서 발견된 북한의 대남 선전용 삐라입니다. <br> <br>전단 묶음이 차량 위에 뭉텅이로 떨어지면서 차 지붕이 파손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불과 몇년 전만 해도 청와대를 비롯해 남한 곳곳에서 북한이 살포했던 대남전단을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.<br> <br>북한의 군사력을 과시하며 김정은 세습통치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한편, 우리 정부를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. <br> <br>[황하람 기자] <br>4년 전 대남전단 30여 장이 발견된 서울 서대문형무소입니다. <br> <br>이처럼 대남전단은 서울 한복판에서도 종종 발견되곤 했는데요. <br> <br>북한은 지난 2018년 판문점 선언을 계기로 대남전단 살포를 멈춘 상태입니다. <br><br>그런데 오늘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가 다시 대남전단을 살포하겠다며 경고하고 나섰습니다.<br> <br>대남전단이 우리 국민들에게 끼치는 영향은 미미하지만, 남북 간 합의를 깬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습니다. <br> <br>[신범철 /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] <br>"북한 주도의 남북관계를 만들기 위해서 압박을 강화한 거죠. 맞대응 조치로 우리가 전단 살포하면 자기들도 보내겠다는." <br> <br>이런 가운데 서호 통일부 차관은 오늘 대북전단 살포 규제를 위해 현장 점검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일각에선 북한의 대남전단 살포에 대해선 언급없이 '북한 눈치보기'에만 급급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하람입니다. <br> <br>yellowriver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영수 <br>영상편집 : 이혜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