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재난지원금 효과로 고깃값이 올랐죠. <br> <br>오이나 배추같은 채소가격도 올라서 밥상 물가가 비상입니다. <br> <br>황규락 기자가 시장에 다녀왔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현장음]<br>"이게 1500원이야. 올랐어." <br> <br>사람들의 발걸음이 전통시장 채소가게로 향하지만 <br> <br>선뜻 지갑을 열기가 어렵습니다. <br> <br>[최엄순 / 서울 중구] <br>"요즘 다 비싸진 것 같아요. 뭐든 게 다. 생선 종류도 있고 야채 종류도 있고 이것저것 다 있죠." <br><br>[황규락 기자] <br>"소비자들이 밥상물가가 올랐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재난지원금 효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고깃값에 이어 이제 채소 가격도 올라갔기 때문입니다." <br> <br>[김화숙 / 전통시장 상인] <br>"많이 비싸졌죠. 여기서는 물건이 모자라서 단가가 오르고. 그러다 보니까 소비자들하고 우리 상인들이 죽어나는 거죠." <br><br>배추는 1년 전에 비해 50% 넘게, 양배추는 66%나 뛰어올랐습니다. <br><br>애호박이나 당근, 감자 등 밥상에 자주 오르는 채소들도 20% 이상씩 올랐습니다.<br> <br>품목별로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봄철 이상 기온으로 인해 공급이 감소했고 배추의 경우 코로나19로 국내산 김치 수출 주문이 <br>늘어난 영향도 있습니다. <br> <br>또한 상당수 채소 가격이 지난해 유독 낮았기 때문에 올해 소비자 체감 물가가 더 높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[국승용 /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본부장] <br>"작년도랑 비교하면 가격이 오른 것처럼 보이는데요. 실제로는 그렇게 평년가격 기준으로 큰 폭으로 올랐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." <br> <br>재난지원금을 다 소진한 소비자들도 계속 늘어나면서 지원금 효과로 반짝 올라가던 소상공인 매출도 다시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규락입니다. <br> <br>황규락 기자 rocku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기상 <br>영상편집 : 장세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