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"北 추가행동 자제해야"…美언론 "연출된 분노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 행정부는 북한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데 대해 역효과를 부르는 추가 행동을 자제하길 촉구한다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동맹인 한국과도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도 밝혔는데요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아직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.<br /><br />윤석이 특파원, 미 행정부가 신중하면서도 북한의 추가 행동을 자제하라는 경고의 메시지를 내놨군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미 국무부는 북한을 향해 "역효과를 부르는 더 이상의 행동을 자제하길 촉구한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국무부 대변인은 북한이 개성 남북연락사무소를 폭파한 데 대한 연합뉴스TV의 질의에 "미국은 남북관계에 대한 한국의 노력을 완전하게 지지한다"며 이같이 논평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미 행정부 고위당국자도 "미국은 동맹인 한국과 긴밀한 협력을 유지하고 있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추가 도발 등 긴장을 더욱 끌어올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분명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동시에 절제된 내용의 메시지를 발신하며 북한의 추가 행보를 주시하겠다는 뜻도 담긴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남북 상황에 대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도 관심사인데, 아직까지 특별한 반응은 보이지 않고 있군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오늘 백악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경찰 개혁 관련 서명 행사가 있었는데요.<br /><br />이 자리에서 북한에 대한 언급이 있지 않을까 하는 관측이 있었지만, 트럼프 대통령은 취재진의 질의를 받지 않았고, 연설에서도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미국 내 여론에 당장 영향을 주는 사안이 아니라는 판단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대선 레이스에 올인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시험 등 '레드라인'을 넘지 않는 한 북한 문제에 언급을 자제하겠다는 태도를 보여왔습니다.<br /><br />북한 역시 우리 정부는 물론 미국을 향해서도 불만을 표출하고 있지만,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서만은 아직 직접적인 비난을 자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개성 연락사무소를 폭파하면서도 워싱턴 현지 시간으로는 새벽 시간대를 택한 것도 같은 맥락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그동안 지난 2017년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시험 등 군사적 도발에 나설 경우 주로 미국의 오전 시간대에 맞춰 감행해왔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언론들의 반응도 궁금한데요.<br /><br />남북, 북미 대화가 교착인 상황 속에서 "연출된 분노다" 이런 해석이 나오고 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AP통신의 분석인데요.<br /><br />"북한이 교착상태에 빠진 핵 외교 속에서 미국과 서울을 압박하기 위해 주의깊게 연출된 분노를 표시했다"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"북한이 2018년 핵 외교에 들어선 이후 가장 도발적인 일"이라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CNN방송은 "남북 관계가 급격히 악화하고 있다는 최근의 징후"라며 "양국 사이의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"고 짚었습니다.<br /><br />NBC 방송은 "북한 조치는 위기를 조성하고, 이웃 국가들로부터 양보를 강요하려는 시도일 수 있다"는 전문가의 견해도 소개했습니다.<br /><br />월스트리트저널은 "김여정 제1부부장이 주도하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지하는 계산된 움직임"이라며 "김여정이 이번 폭파로 이득을 볼 것"으로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내 한반도 전문가들 역시 북미 비핵화 협상 교착으로 경제적 어려움에 부닥친 북한이 한국을 고리로 강경책을 취하고 있다는 분석이 많았습니다.<br /><br />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연합뉴스TV에 "북한이 군사행동과 테러, 암살 등 추가적인 일을 벌일 수 있지만, 지금은 제재 완화를 압박하는 데 더 관심이 있어 보인다"고 해석했습니다.<br /><br />제니 타운 스팀슨센터 연구원은 다만 "북한은 지난 2년간 아무런 제재 완화나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얻지 못했다"며 "북한 내 청중을 달래려는 메시지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"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