北, 다음엔 사이버전쟁 감행?…"정예 7천명 양성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남북연락사무소 폭파 등 한반도 긴장을 의도적으로 고조시키는 가운데 다음 수순으로 한국과 미국 등을 겨냥해 사이버전쟁에 나설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10년 전부터 7천명 규모의 엘리트 사이버 부대원을 양성해온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<br /><br />이들은 이미 해킹을 통해 기간시설을 파괴하고 자금을 마련하는 등 암암리에 사이버 위협을 가해왔던 것으로 전해집니다.<br /><br />김영만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북한이 해킹으로 대외적으로 사이버 작전을 펼치기 위해 7천명 규모의 정예 부대를 운영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2010년부터 이같은 사이버 전사를 양성해왔다고 한반도 문제를 담당했던 대니 러셀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를 인용해 미국의 뉴스 웹사이트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사이버 공격은 주로 중국과 러시아, 인도 등을 거점으로 해 염탐과 자금 절취, 보복 등 3가지 형태로 진행됩니다.<br /><br />나아가 한국과 미국, 일본 등의 국가 기간시설을 파괴할 수도 있어 단순한 해킹이 아니라 사이버 전쟁으로 봐야 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이들 부대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주요 사례로는 2017년 5월 무차별 사이버 공격으로 150여개국에 피해를 준 랜섬웨어 사건이 거론됩니다.<br /><br />2016년 방글라데시 중앙은행의 8천만 달러 탈취 사건과 2014년 북한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한 소니의 영화 '인터뷰'를 해킹한 것도 사이버 부대의 소행으로 지목됐습니다.<br /><br />러셀 전 차관보는 "북한이 상당 부분 중국을 거점으로 사이버 공격을 자행하기 때문에 미국은 중국과의 협력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"고 조언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 미 국무부는 최근 국토안보부 등과 함께 북한의 사이버 위협 전반에 대한 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.<br /><br />국무부는 "북한의 악성 사이버 활동은 미국과 전 세계 국가를 위협하며 특히 국제금융시스템의 안정에 상당한 위협이 된다"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주의보는 그간 누적된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근거해 발령된 것인데, 북한이 해킹을 통해 대북 제재의 후폭풍을 회피하려는 데 대한 경고의 메시지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영만입니다. (ymkim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