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북한 병력 70명, 개성공단 진입…軍 주둔 사전 점검 관측

2020-06-18 19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연락사무소가 파괴된 개성공단에도 북한군이 병력 약 70여 명을 투입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개성공단 착공 전까지, 그 곳엔 지금 보시는 북한 전차 천마호를 비롯한 각종 북한 부대가 주둔해 있었는데요. <br> <br>이들을 재배치하려는 사전작업에 착수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><br>이 곳에 자주포와 방사포를 배치할 경우 수도권은 그 사정권에 들어갑니다. <br> <br>강병규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조선중앙TV(어제)] <br>"우리 공화국 주권이 행사되는 금강산관광지구와 개성공업지구에 이 지역 방어임무를 수행할 연대급 부대들과 필요한 화력 구분대들을 전개하게 될 것이다." <br> <br>북한의 발표대로 북한군이 개성공단에 투입됐습니다. <br><br>한미당국에 따르면 어제 오후 북한군 70여명이 개성공단에 진입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전차나 포 같은 무기는 보이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막사와 격납고 위치 지정 등 군 부대 배치를 위한 사전 점검 차원이란 관측이 나옵니다. <br><br>과거에는 개성공단 부지 일부와 주변 야산에 북한군 6사단과 64사단, 62포병여단 등이 주둔했습니다. <br> <br>2003년 12월 개성공단 착공을 앞두고 이 부대들은 100km 이상 후방으로 재배치됐습니다.<br> <br>전문가들은 우리 측에 보여 줄 메시지의 상징성을 고려해 개성공단 지구를 군 주둔지로 지정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. <br> <br>[신종우 /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] <br>"군사합의 뿐 아니라 과거에 남북 평화의 상징이라는 부분에 대해서 그 의미를 퇴색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개성공단 내부 또는 <br>아주 가까운 주변이 군부대가 주둔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입니다." <br><br>개성공단 착공 이전처럼 포병, 기갑 부대의 배치가 예상되지만 17년 가까이 흐른 만큼 화력은 크게 업그레이드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착공 이전에는 사거리 50~60km의 자주포와 방사포가 배치돼 서울을 위협했지만, 사거리 200km의 300mm 방사포와 신형 전차들이 배치될 수 있습니다.<br><br>경기 남부 지역은 물론 육군본부가 있는 계룡대까지 위협할 수 있는 거리여서 군 당국이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병규입니다. <br><br>ben@donga.com <br>영상편집: 조성빈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