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북한의 도발에 아직 침묵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동안 북핵 외교를 성과로 내세워 온 터라 지금 대치 국면이 정치적 부담도 될 텐데요. <br> <br>전반적인 미국 내부 기류는 점점 강경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오늘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 정권이 미국에 특별한 위협이라며 대북 제재를 1년 연장했습니다. <br> <br>워싱턴 김정안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공세수위를 높이는 북한에 미국은 보란 듯 기존 대북 제재 행정명령을 재연장했습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은 의회에 보낸 연장 통지문에서 북한의 조치들이 미국에 ‘비상하고 특별한 위협’이 되고 있다 적시했습니다. <br><br>2008년 부터 이어져온 표현이자 연례적 조치지만, 북한 위협 수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이뤄졌단 점에서 주목됩니다. <br> <br>군사적 압박 등 보다 강경한 대응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[빈센트 브룩스 / 전 주한미군사령관(CSIS)] <br>"(도를 넘은 걸 북한이 알도록)핵 폭격기를 포함한 미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 재개 발표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." <br> <br>[허버트 맥매스터 /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(허드슨연구소)] <br>“북한에 군사적 역량을 보여주기 위해 8월 강력한 연합훈련을 진행해야 합니다.” <br> <br>이런 가운데 2018년 북미 싱가포르 정상회담 당시 트럼프 대통령을 수행한 폼페이오 국무 장관은 볼턴 당시 NSC보좌관에 비속어까지 섞어 ‘트럼프 대통령은 거짓말쟁이’라는 비밀 쪽지를 건넨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 대통령(2018년 북미 싱가포르 정상회담)] <br>"우리(북미) 관계는 의심 여지 없이 정말 좋아질 겁니다." <br><br>그로부터 한 달 뒤 폼페이오 장관은 ‘북미 정상외교 성공 가능성은 제로’라 밝혔다고 볼턴 전 보좌관은 사전 공개된 자신의 회고록 발췌본을 통해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[존 볼턴 / 전 백악관 NSC보좌관(지난 해 10월)] <br>“매일매일 북한은 더 위험한 국가가 돼 가고 있는 겁니다.” <br><br>트럼프 대통령은 오늘도 북한에 대해 침묵했습니다. <br> <br>김정은 위원장과의 케미를 자랑하며 자신의 치적으로 내세워온 ‘북핵 외교’ 결실이 초라하단 비난이 나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뉴스 김정안입니다. <br><br>jkim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강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