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군사행동을 예고했지만, 아직 구체적인 움직임은 파악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전방 비무장지대 북측 감시초소에서, 일부 보수 작업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국방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임성호 기자! <br /> <br />북한 전방에서 일부 움직임이 있긴 하지만, 특이 동향으론 볼 수 없다는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군사적 특이 동향을 도발 징후로 정의한다면, 아직 이 같은 정황은 포착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경계 근무를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은 조금씩 진행하는 것 같다고 군 관계자는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북한군 총참모부는 폭파하거나 철수했던 GP에 병력을 투입해 경계 근무를 강화하겠다고 위협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를 위해 해당 GP나 비어있는 GP에서 보수 공사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만일 북한이 군사합의에 따라 폭파하거나 철거했던 GP를 복구해 경계 병력을 다시 투입한다면, 그 자체로 군사합의 위반입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군 당국은 북한군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동해와 서해 NLL 부근에서도 해안포 개방이나 대규모 해상 사격훈련을 하려는 움직임은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렇더라도 어제 북한이 상상을 뛰어넘는 조치를 하겠다고 예고했는데요. <br /> <br />도발 가능성은 여전히 크다고 봐야겠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은 북한군의 자제력이 한계를 넘었다고 주장했는데요. <br /> <br />특히 '폭음이 연속해서 터질 것이다'라는 해설을 게재한 점을 볼 때, 향후 한미 양국 움직임을 보면서 추가로 군사적 도발을 할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예상할 수 있는 건, 개성공단이나 금강산 관광지구 내 일부 시설을 폭파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또 사격훈련이나 GP 내 경계병 투입 등 지금껏 알려진 군사행동 말고 다른 기습적 도발일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군이 군사적 대응을 할 수 없도록 도발 주체를 알 수 없게 해서 위기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구사하는 방식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우리 인터넷망을 노린 사이버 테러 전이나, 전방 지역에서 전자파 공격을 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군 당국은 모든 정찰 자산을 총동원해 북측을 24시간 면밀히 감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9·19 남북 군사합의를 파기하는 군사행동을 예고한 가운데, 한미 국방부 장관도 이달 중 화상회의를 열어 8월 연합훈련 등 대응책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국방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61914021103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