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저도 이것 때문에 피곤했는데, 다른 분들도 그러셨군요. <br><br>코로나 19 사태가 다섯 달 가까이 계속되면서 재난문자가 하루에도 몇 번씩 쉴 새 없이 울리고 있죠. <br><br>처음에야 깜짝 놀라 살펴봤지만 자꾸만 둔감해지거나, 아예 알람을 꺼놓고 싶다는 분도 많습니다. <br><br>아직은 그러면 안 되는데 말이죠. 유승진 기자가 시민들 속마음을 들어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경고음]<br>"삐, 삐."<br> <br> 재난문자가 전송될 때 울리는 스마트폰 경고음입니다. <br> <br>코로나 19 확산으로 지난 한 달 사이 재난문자는 2400통 넘게 발송됐습니다. 기상 정보 중심으로 29건 울렸던 지난 해 같은 기간 재난문자수의 80배가 넘습니다.<br> <br> 시민들이 꼭 알고 싶어하는 확진자 경로 등의 정보도 있지만, "추가 확진자가 없다"는 내용도 있습니다. <br> <br>손 씻기나 마스크 착용, 술잔 돌리지 않기 등 기본적인 예방수칙까지 재난문자음과 함께 반복적으로 전송됩니다.<br> <br>[유정민 / 경기 남양주시] <br>"예전에는 재난문자가 오면 '확진자가 생겼나보다'하는 놀라는 마음으로 문자를 봤는데… (이제는) 오히려 코로나에 대한 걱정 같은 게 사라지는 거 같아요, 너무 자주 보내다보니까." <br> <br> 포털 사이트에서 '재난문자'를 검색하면 '재난문자 차단', '끄기'가 관련 검색어로 가장 먼저 나옵니다. 알람을 차단하는 방법을 찾는 시민들이 많다는 겁니다. <br> <br>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기지국에서 자동 발송되다 보니, 거주지와 상관없는 지역의 문자도 받게 됩니다. <br> <br>[이화진 / 인천 서구] <br>"필요한 내용이지만, 굳이 살지 않는 먼 곳에서 있는 그런 정보까지 나한테 와야 하나 생각을…" <br> <br>[정영인 / 대전 중구] <br>"엄청 늦게 밤에 올 때도 있어요. 밤에 안 보내고 다음 날에 보내도 될 것 같은데 굳이 밤에 보내니까…" <br> <br> 지금처럼 사소한 정보까지 문자로 받는게 좋다는 목소리도 적진 않습니다. <br> <br>[강채원 / 서울 성동구] <br>"재난문자를 계속 보내는 데는 이유가 있고… 손 씻기나 마스크 쓰기도 계속 생활화 해야하기 때문에 지금 상황으로선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재난안전 총괄부처인 행정안전부는 긴급문자를 전송하는 각 지방자치단체에게 중복된 내용 전송을 자제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 정부가 보내는 재난문자에 별도 지출이 발생하지 않지만 시민들의 긴장이 풀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선 과도한 재난문자 전송은 <br>자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찬우 <br>영상편집 : 김문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