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서해에서는 북한이 해안포 포문을 열고 있는 모습이 추가로 포착됐습니다. <br> <br>언제든지 공격할 채비를 갖췄다는 거지요. <br> <br>날씨가 화창해 뚜렷하게 보였다는데요. <br> <br>최전선 연평도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<br> <br>김철중 기자, <br><br>[질문] 해안포 포문 두 개가 열린 것까지 확인했었는데, 그보다 더 많이 열렸다고요?<br><br>[리포트]<br>네, 오늘은 연평도 주변에 해무가 거의 없어 북한 해안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 <br> <br>특히 이곳에서 약 15km 떨어진 개머리해안 인근에 다수의 포문이 열려있는 모습이 저희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. <br> <br>지난 19일 처음 포착된 개머리해안 포문 2개는 여전히 열려있습니다. <br> <br>개머리해안 서쪽에서도 열려있는 포문 2개가 추가로 발견됐고, <br> <br>개머리해안보다 더 멀리에 있는 대수압도에서도 열린 포문으로 추정되는 검은 구멍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 <br> <br>북한이 최소 4일 이상 포문을 열어둔 셈인데, <br> <br>지난 2018년 9.19 남북군사합의 당시 약속한 해안포 폐쇄 조치를 위반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반면 우리군은 여전히 평시 수준의 경계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연평도 인근의 우리군 고속정들이 함포에 포신 덥개를 하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는데요. <br> <br>지난 9.19 남북 군사합의에 따른 조치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정경두 국방부 장관도 국회 국방위원회에 출석해 북한의 잇단 도발이 군사합의 위반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정경두 / 국방부 장관] <br>"(9.19 남북군사합의는) 군사 총돌 방지 위해 여러 조치를 한 사항입니다.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관련 사항 아닙니다." <br> <br>우리 군은 지난 17일 잠정 중단했던 화살머리고지 유해발굴 작업도 오늘 재개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연평도에서 채널A 뉴스 김철중입니다. <br><br>tnf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이락균 <br>영상편집: 오영롱